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IPM을 꿈꾸는 사람들
장미꽃잎에 총채벌레 피해 본문
겨울과 봄 사이에 화사한 장미는
우울했던 마음도 환하게 비쳐 줍니다.
그런데 누군가(?) 장미의 꽃잎 변색과 지저분한 흔적을 남겼네요.
범인을 찾아서...
하얀 백지를 깔고 장미의 꽃잎을 흔들어 털어네요.
아~ 하이얀 백지 위로 떨어지는 물체는
앗~ 총채벌레의 유충과 성충
총채벌레는 장미와 같은 화훼작물에서는
꽃을 흡즙 하여 변색시키거나
지저분한 흔적을 남기며 고사시킵니다.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쉽게 발달하기 때문에
약제방제의 단독 사용보다는
총채벌레의 종합적 병해충 관리를 하여야 합니다.
약제 저항성 발달을 억제하기 위해
작용기작이 다른 약제를 교호로 살포하여야 하며,
장미의 꽃받침, 엽육, 엽맥 등의 조직 속에
산란된 알은 방제효과가 낮으므로
3~5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정식 전
앞작물의 잔해물이나 잡초 등을 제거하는 포장 위생과
오염되지 않은 건전한 묘를 사용하고
정식 후에
초기의 총채벌레의 발생을 철저히 방지하여야 하며,
온실에서는 한랭사를 설치하여
시설 내로 성충의 유입을 막고
점착 유인트랩의 설치,
은색 비닐멀칭 등 물리적 방법을 조합시켜 방제하고,
포식성 응애와 꽃노린재 등 천적을 활용하는 방법도 권장됩니다.
'해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늘 토양해충의 향연 (0) | 2017.05.22 |
---|---|
아욱의 황화 증상 (0) | 2017.04.04 |
마늘줄기선충의 종합적 병해충 관리 (0) | 2017.03.20 |
뿌리응애 종합적 병해충 관리 (0) | 2017.03.20 |
심비디움에서 발생한 진딧물 (0) | 2017.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