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곰팡이병 (207)
IPM을 꿈꾸는 사람들

사과 화상병 정기 예찰을 나갔다가 뜻하지 않게 탄저병 예찰도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요즘 7월의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약제를 제대로 살포하지 않으면 짧은 시간에 탄저병이 다발생할 수 있습니다. 먼저 사과나무 상단부에 발생한 병든 과실을 제거해 주세요.~!!!!!!!! 탄저병원균은 과실 껍질을 직접 뚫고 침입하므로 표피가 얇은 홍로 품종에서 많이 발생하고, 초기 병징으로 검은색의 소형 반점이 생기며, 초기에는 사과나무 상단부에서 많이 발생하며, 처음에는 과실에 갈색의 원형반점이 형성되어 1주일 후에는 직경이 20~30mm로 확대되며 병든 부위를 잘라보면 과심 방향으로 과육이 원뿔 모양으로 깊숙이 부패하게 됩니다(V자 모양). 과실표면의 병반은 약간 움푹 들어가며 병반의 표면에는 검은색의 작은..

작약은 아름다운 꽃과 함께 한약재로도 널리 쓰이는 귀한 화훼류입니다. 작약은 봄과 초여름 사이에 화려한 색상(흰색, 분홍, 진홍색 등등)으로 매우 사랑받은 관상식물로 정원을 가꾸는 이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고한 작약을 괴롭히는 병이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작약 흰가루병 입니다. 작약이 흰가루병에 걸리면 잎 표면에 흰가루 모양의 분생포자를 뒤집어 씌게 되므로 심하면 작약 전체가 하얗게 보입니다. 흰가루병이 발생한 잎은 생기를 잃고, 일찍 떨어지게 되며, 흰색의 분생포자는 바람에 흩날려 건전한 식물체로 전염이 됩니다. 통풍이 안 되거나 그늘진 곳에서 심하게 발생하고, 작약은 다년근을 수확하는 작물로 재배년수가 증가할수록 병 발생이 심해지며, 흰가루병원균은 병든 낙엽에서..

과수 탄저병 감염은 기온 25 ~ 30 ℃, 상대습도 70% 이상에서 잘 이루어지며, 분생포자의 전파는 고온기에 관수 시 물방울이나 빗방울 또는 바람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병원균의 감염이 일어날 수 있는 시간은 12시간으로 이 기간 동안 식물체가 젖어 있으면 감염이 일어나게 됩니다. 탄저병은 종자로도 전염할 수 있지만, 지난해에 버려진 병든 잔재물(병든 과실, 가지, 낙엽 등)이 가장 중요한 전염원으로 병원균이 과실에 침입하고 4일 이내에는 2차 전염원인 분생포자를 형성합니다. 탄저병은 감염 후 빠르면 4일째부터, 늦게는 10일 후 외부에 병 증상이 나타납니다. 과수 탄저병은 감염 후 치료보다는 예방이 중요합니다. 방제시기는 3월 석회유황합제 살포하고, 4 ~ 5월, 8 ~ 9월 집중 방제..

5월의 비가 오는 날이 많아지면서 배 과수원으로 배 화상병 예찰을 나간 과원에서 검은별무늬병이 발생된 것을 관찰하였습니다. 배 검은별무늬병의 분생포자는 4월에 성숙되기 시작하여 4월 중순 이후 비가 오면 비산 되어 5월 상순에 제1차 감염원이 됩니다. 병원균이 좋아하는 잎에 대한 감염적온은 15 ~ 20℃이며, 최저 8 ℃, 최고 25 ℃ 정도로 물이 있을 때 48시간 이내에 침입이 끝나며, 잠복기간은 10 ~ 35 ℃ 에서 15~16일입니다. 배 검은별무늬병의 증상은 잎, 잎자루, 과실, 과경, 줄기에 발병하나 주로 잎과 과실에서 피해가 큽니다. 처음에는 잎의 엽맥을 따라 뚜렷하지 않은 부정형 또는 타원형의 검은 병반이 생기고, 점자 진전되면서 그을음 모양의 무수한 포자가 밀생 하는 특징을 가지고..
과수 화상병을 예찰하러 갔다가 인근에서 체리를 재배하고 있는 지인을 우연히 만나 요즘 체리 재배 근황을 물어봅니다. 올해 체리가 꽃은 많이 피는데 달린 게 몇 개 없어. 그마저도 이런 증상으로 떨어져요.하시면서 직접 시료를 채취하여 봉지에 싸주시면서 배양해서 정확히 알려달라고 하시네요. 사무실에 들고 온 시료를 자세히 보니, 과실에 하얀 곰팡이 피어 있는 것이 보입니다. 시료를 잘라 광학현미경으로 살펴보면, 조직 속에서 잿빛곰팡이 병원균의 특징인 연쇄상으로 분생포자를 층층이 쌓아 올린 것이 보입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을 원하셨으므로 조직을 WA와 PDA 배지에 배양하여 관찰해 보기로 합니다. 그런데 몇 날 며칠을 기다려도 포자가 잘 자라지 않아 이 병원균을 고온을 좋아하지 않나? 하는 생..

포도 탄저병의 발생부위는 과실, 잎, 가지, 덩굴손 등 여러 곳에서 탄저병이 발생합니다. 포도 과실에서 탄저병이 발생을 하면 쉽게 탄저병임을 진단을 할 수 있으나 잎에서 발생한 탄저병의 경우는 잘 알려져 있지 않고, 과실의 병징과 다르게 뚜렷하지 않아 진단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위의 사진과 같이 잎이 갈색이 되면서 부정형의 반점이 생긴 경우, 배양된 플레이트에서 탄저병의 균총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광학현미경 상에서도 탄저병의 분생포자를 볼 수 있고요. 이러한 증상이 발생했을 경우, 수확기 이후 잎이 갈색으로 마르거나 부정형의 반점이 형성되었을 경우 탄저병을 의심해 볼 수 있으며, 탄저병에 적용 약제를 활용한 수확기 이후 방제를 권장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