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참외 (6)
IPM을 꿈꾸는 사람들
오이 시설재배지에서 오이의 잎이 시들고 오이의 초세가 쇠약해지고 있다고 연락이 오네요. 뿌리를 흐르는 물에 씻어 관찰을 해 봅니다. 뿌리가 군데군데 갈변되고 검게 썩어 있네요. 뿌리의 껍질이 벗겨지고 세근과 2차근이 거의 안 보입니다. 뿌리의 표면에 검은 점들이 박혀 있습니다. 검은 점처럼 보이는 병반을 떼어서 현미경으로 관찰해 봅니다. 둥근 모양의 자낭들이 보입니다. 이 자낭안에는 둥근 포탄 모양의 단 하나의 자낭포자만이 들어 있습니다. 이 병은 오이, 멜론, 수박, 참외 등 박과류 식물에서 검은점뿌리썩음병을 일으키는 Monosporascus cannonballus입니다. 이 병으로 인해 나타나는 병징은 잎의 발육이 나빠지고 황화 되며 괴사 됩니다. 점차 초세가 약해졌을 때는 수확 전 약 10 ~ 14..
5 ~ 6월에 계속되는 가뭄과 건조로 해충(진딧물) 발생이 증가하여 이들이 매개하는 바이러스 의심 진단 시료를 농촌진흥청에 보내어 진단한 결과를 게재합니다. 시료 6점에 대한 현장 포장사진과 실험실에서 찍은 확대사진들 입니다. 시료 1) 노각오이 시료 2) 호박 시료 3) 참외 시료 4) 멜론 시료 5) 호박 시료 6) 호박 위의 총 6점 시료를 농촌진흥청 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바이러스실에 진단한 결과 입니다. 분석 전 시료 사진 시료 총 6점에 대한 RT-PCR의 결과 입니다. * "박화" 가 아니라 "박과" 로 정정합니다. 박과류 바이러스 진단을 해주신 작물보호과 곽해련 연구사님과 연구원들께 감사드립니다. ~
잘록병은 흔히 유묘기에 많이 발생하는데요. 생육중기에 진전되면 참외 줄기는 황갈색으로 변하여 썩어 올라가며 참외는 결국 시들고 말라 죽습니다. 참외의 대목이 갈색으로 변하고 썩었네요. PDA배지 배양 사진입니다. Rhizotonia 특유의 격막 사진입니다. 방제 방법으로는 참외를 기르는 묘상과 포장을 다습하지 않게 관리하며, 오이에 등록된 잘록병 방제 약제로 초기 방제가 중요합니다.
참외 덩굴쪼김병은 유묘기에는 잘록 증상으로 나타나며, 생육중기 이후에는 포기 전체가 황화 되고 시듭니다. 주로 하엽부터 황화되고 한쪽의 줄기가 먼저 시드는 경향이 있으며 시들음증상을 보인 지 3~5일이 지나면 회복이 어려워 참외는 곧 죽습니다. 간혹 끈적끈적한 수액이 병든 조직에서 나오기도 합니다. 줄기에 끈적한 수액이 말라 붙어있는 모습 기온이 상승하고 건조한 낮 동안에는 심하게 시들고, 아침에는 다소 회복되기도 하는데 과실이 착과 된 이후에는 갑자기 시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병원균은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인데 덩굴쪼김병은 토양전염성 병원균으로 주로 참외 곁뿌리가 나온 부분으로 침입하여 도관부를 침해하는데 주로 포장 정식 직후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병든 참외..
참외 흰가루병은 잎, 줄기, 과실에서 발생하나 주로 잎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흰가루병에 심하게 감염되면 하얀 균총이 잎 전체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것 같이 보입니다. 병에 걸린 오래된 잎에서는 흰가루가 회백색으로 변하고, 흑색의 소립점(자낭각)이 형성되며 병든 잎은 결국 말라 죽습니다. 흰가루병원균은 자낭각의 형태로 병든 식물체의 잔해에서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되고, 시설재배 하우스에서는 공기 전염되어 계속하여 발생하므로 병든 잎을 따서 하우스나 포장에 그대로 두면 안 되고 병든 잎은 조기에 제거하여 소각 또는 매몰하여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15~28도에서 많이 발생되며 32도 고온에서는 병 발생이 억제됩니다. 특히 일조가 부족하고 밤낮의 기온 차이가 크고 질소질 비료를 과잉하여 주었을 때 병 발생이 ..
사건보고 - 일 자 : 2017년 3월 28일 - 피 해 자 : 참외 - 피해면적 : 참외 재배 시설하우스 - 피해증상 : 참외의 잎끝이 마르고, 탄 듯한 병징 원인규명 - PDA배지에서 병원균 미검출 - 토양 pH(6.24 ~ 6.39) : 적정 - EC(0.9 ~ 1.0 ds/m) : 적정 - 사건 오리무중에 빠지다!! 처방 - 약제처방은 하지 않고, 기다리기로 함 포장관찰 - 일주일 단위로 포장관찰을 하다. - 발생 후 20일 : 생육 회복 결론 - 정확한 진단이 되지 않으면 잘못된 약제를 사용으로 식물을 괴롭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