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콩 (11)
IPM을 꿈꾸는 사람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ncaw/btrgOsNiH0r/TN06nlPSaTS1m3WQpJkhC0/img.jpg)
인증 심사를 다니면, 왜 그런지를 물어보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현장에서 답을 해줄 수 있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해답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에 꼭 그런 일이 있었다. 콩이 왜 그런지를 물어본 일. 콩이 왜 그런지 마을 사람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한 모양이었나 보다. 이장님이 갑자기 차를 길 옆에 세우더니 콩이 왜 그런지 물어온다. 제초제 피해인지 우분피해인지 물어보신다. 글쎄...... 선뜻 답하기 어렵다.ㅠ.ㅠ 콩을 다섯 그루 뽑아서 실험실로 진단을 의뢰해보았다. 현미경에서 가루이와 진딧물이 보인다고 한다. 아마도 콩 바이러스로 의심된다고 한다. 콩밭 주인과 통화해보니 편찮으셔서 병원에 입원하고 계신다고 한다. 바이러스 검정을 위해 진흥청에 의뢰해 드린다고 하니 굳이 할 필요가 없다고 ..
IPM연구회 회원님이 집에서 직접 기른 서리태콩을 먹어보라고 주셨습니다. 바쁜 일로 인해 미처 선별을 못 했다고 하시면서요. 직접 콩을 고르고 나니 못난이 콩이 남았습니다. 콩이 쭈글거리고 하얀 곰팡이가 핀 종자도 보여서 콩을 배양해 보기로 합니다. 못난이 콩 종자에서 먼저 검출되는 병원균은 콩 탄저병원균(Colletotrichum sp.) 입니다. 다음은 콩 갈색점무늬병원균(Corynespora sp.) 입니다. 자라나 온 균총을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격막이 있는 기다란 포자를 관찰할 수 있어요. 다음은 콩 미이라병원균(Phomopsis sp.) 입니다. 콩 종자 불량을 만드는 3가지의 병원균이 검출되었어요. 이듬해 이러한 콩을 종자로 쓴다면 종자전염성 병원균들은 균사의 형태로 종자나 병든 식물체의 조..
올해 콩 꽃이 일찍 핀 것은 말라 죽고, 8월 말에 내린 비에 콩꽃이 늦게 피더니 콩 수확기도 늦어지고 있습니다. 콩 꼬투리가 이상하다고 이웃마을 상담소장님이 가져온 콩 시료를 진단해 보겠습니다. 콩 꼬투리에 부정형의 갈색 반점들이 보입니다. 병반을 배양해 보니 콩 자주무늬병을 일으키는 Cercospora kikuchii가 자라나오고, 콩 탄저병을 일으키는 Colletotrichum sp. 가 배양됩니다. 그러므로 위의 병징은 콩 자주무늬병과 콩 탄저병의 복합감염으로 진단합니다. 콩 자주무늬병은 꼬투리에 둥글고 적자색의 병반이 생기며, 콩 탄저병은 갈색 내지 암갈색의 부정형의 병반이 나타나고, 나중에는 겹무늬 병반으로 확대되어 움푹 들어가기도 합니다. 위의 두 가지 병원균은 25 ~ 30도, 상대습도 7..
논을 활용하여 타작물을 재배하고자 하는 정부시책과 맞물려서 논에 콩을 재배하는 농가수가 늘고 있습니다. 여름철 건조기에는 논의 수분 유지력이 높기 때문에 콩이 잘 자라다가도 8월의 늦은 집중호우가 지나간 뒤 물 빠짐이 나쁜 논에서 재배되고 있던 콩이 한 두 포기씩 시들어 죽어 갑니다. 시들어가는 콩의 지제부에는 부생균인 Fusarium sp. 균사가 하얗게 덮고 있습니다. 완전 고사된 콩은 제외시키고 막 시들기 시작한 콩 시료를 뽑아서 IPM실험실로 가져옵니다. 뿌리와 지제부 근처의 조직을 배양해 봅니다. 균핵이 막 생기기 시작한 Rhizoctonia sp. 가 배양됩니다. 대표적인 토양 병원균인 Rhizoctonia는 병든 식물체의 조직 혹은 토양 내에서 균사나 균핵의 형태로 존재하며, 월동 후 발아한..
논을 복토하여 처음 콩을 심었데요. 그런데 콩이 잘 자라지 않는다고 연락이 옵니다. 비가 오기 전 서둘려서 콩을 심어 놓은 밭에 가서 시료를 채취하고 옵니다. 콩의 새순이 피어나지 못합니다. 실체현미경으로 살펴보면, 콩잎은 모용이라고 하는 털이 참 많습니다. 이 모용들 사이로 노란 총채벌레의 유충이 숨어 있습니다. 총채벌레의 성충도 있네요. 총채벌레는 기주 범위가 매우 넓습니다. 오이 수박, 고추, 딸기, 국화, 거베라, 시클라멘, 장미 참깨, 감자, 강낭콩, 자두, 배, 복숭아 등 원예작물뿐만 아니라 쑥, 별꽃, 광대나물, 방초 등등 잡초도 가해합니다. 그러므로 새롭게 조성한 콩밭도 예외는 아닙니다. 그런데 아직 콩에는 총채벌레 방제로 등록된 약제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콩 노린재에 등록된 약제 중 총채..
콩 수확이 끝나니, 콩을 정선하려고 센터를 방문하는 농가가 늘고 있습니다. 옛날 어머니는 겨우내 밥상에 올려놓고 콩을 손으로 일일이 고르곤 하셨는데 이제는 정선기에 넣으면 똘똘한 콩, 병이 든 콩, 돌이나 흙덩이 같은 이물질도 뚝딱 잘 골라냅니다. ' 세상이 참 편해졌다 ' 새삼 생각합니다. 똘똘이 정선기가 골라놓은 콩을 보니, 병이 든 콩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그래서 콩에서 많이 발생하는 탄저병을 발생 부위로 병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올해 7월은 비가 많이 내렸습니다. 화성시농업기술센터 농업기상 관측 결과를 살펴보면 7월 1일 ~ 7월 31일까지 비가 안 온 날짜를 헤아려 보니 총 14일입니다. 비가 온 날은 17일입니다. 강우량도 484mm로 작년보다 219mm 더 많이 내렸네요. 올해처럼 여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