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식물 병해충의 이해와 IPM활용 (103)
IPM을 꿈꾸는 사람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cwJ4/btsJZJ0NVeP/NEL3qX1eC4nZ6awzpWWh6K/img.jpg)
포도 수확기가 끝나면 농장이 왠지 휑하여 농장에 오는 발길이 점점 뜸해집니다. 다른 밭작물이나 벼 등을 수확하기 위해 바쁜 일손도 농장의 발길을 멀어지게 하죠. 이러한 농장을 지나다 보면 아무렇게나 농약병을 버려두는 광경을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 농장주분들은 농약을 살포하고 제때 농약병을 수거하지만 몇몇 농부님들은 농장에 그대로 두시는 것 같아요. 다 쓴 살충제, 살균제, 친환경제제의 빈병은 각 마을에 설치된 빈 농약병 수거함에 넣어주세요. 농업환경도 보호하고, 농작업자의 안전과 관련되므로 빈병 수거를 철저히 하여야 하겠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Adcc/btsI3hEsAlv/OJb4o54fRgJAExwlNoRGR1/img.jpg)
청수포도 품종에서 발생한 약흔 증상을 소개합니다. 봉지를 씌우지 않고 재배하기 때문에 병해충 방제에 더욱더 신경을 쓸 수밖에 없는데요. 친환경제제인 규산황을 뿌리면 병해충 방제에 좋다는 이야기를 듣고 방제를 하셨다고 합니다. 어린 유과기일 때 청수품종에서는 약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니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y1SIO/btshlXlhnwq/DiGkNQqNSN6fhzQ5BHrSLK/img.jpg)
아침 출근을 해보니 사무실 책상에 포도 줄기 한 줄기가 누워 있습니다. 충랑 포도줄기인데 포도잎이 노랗게 되며, 포도잎 뒷면이 울긋불긋하고 잎이 오그라들며 뼛뻣해지고, 포도알이 꽃도 안 핀 상태에서 떨어진다고 의뢰한 포도 식물체 시료였습니다. 늦게 출근한 탓에 잎이 많이 시들어 있어 우선 의뢰하신 농장주분과 통화를 한 다음 신선한 시료를 찾아 농장을 방문하기로 하였습니다. 농장에 도착하여 포도잎 뒷면을 살펴보니 농장주분이 말씀하신 대로 잎 뒷면이 붉은 기가 돌긴 하지만 잎끝쪽이 유독 심하게 타버려 붉게 변하고 조직이 급성으로 말라죽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무언가를 주신 듯 잎의 앞면에는 무수한 작은 알갱이들이 얹혀 있는 게 보이네요. 농장주분이 말씀하신 대로 개화 중인 꽃들은 손으로 건들기만 해도..
□ 성분명: 이미시아포스(Imicyafos) □ 상표명 단제 네마킥 (입제와 액제 제품이 있으며, 액제 제품은 고춧잎에 사용 불가) □ 작물명 사용금지 가지, 무, 비트, 상추, 열무, 쪽파 등 사용가능 고추(단고추류 포함), 고춧잎(액제 제품은 사용 불가), 구고하, 녹색꽃양배추(브로콜리), 당근, 딸기, 마(산약), 마늘, 멜론, 삽주, 수박(복수박 포함), 쑥갓, 오이, 우엉, 잔디, 지황, 참외, 천궁(일천궁), 토마토(방울토마토 포함), 호박(단호박 포함) □ 주의사항 1. 선충 방제를 위해 토양에 처리하므로 살포 시 약제가 흙과 골고루 섞이도록 하고, 사용량 및 시기 등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할 것(특히 딸기 재배지 살포 주의) 2. 전작물 재배 시 사용한 농약이 후작물(사용금지 작물)에 잔류될 ..
□ 성분명: 디노테퓨란(Dinotefuran) □ 상표명 단제 대포, 디티07, 보스, 슐탄, 오신, 참수리, 팬텀 합제 검객, 격파, 방어망, 번아웃, 벼노린, 삼국통일, 삼총사, 선두플러스, 이버내, 청실홍실, 충망치, 규어링, 타미드, 트레이온, 트리케어, 한칼, 흙태자 □ 작물명 사용금지 고춧잎, 근대, 생강, 셀러리, 쑥갓 등 사용가능 가지, 감(단감 포함), 감귤, 감자, 갓, 겨자채, 경수채(교나), 고구마, 고들빼기, 고사리, 고수, 고추(단고추류 포함), 구기자, 금감(금귤), 기장, 꽃양배추(브로콜리, 콜리플라워 포함), 냉이, 녹두, 다채(비타민), 당귀뿌리, 대추, 동부, 들깻잎, 딸기, 땅콩, 레몬, 로케트(루꼴라), 마늘, 망고, 매실, 멜론, 무, 무화과, 밤, 배, 배추, 벼..
□ 성분명: 프로사이미돈(Procymidone) □ 상표명 단제 그린듀, 스미렉스, 이비엠잿사이트, 인바이오프로파, 초그만, 팡이큐, 팡이탄, 팡자비, 팡청소, 프로팡 합제 다이렉스, 임페리얼 □ 작물명 사용금지 가지, 감, 감귤, 고춧잎, 단감, 멜론, 사과, 살구, 인삼, 참나물 등 사용가능 거베라, 고추(단고추류 포함), 딸기, 백합, 복숭아, 부추, 수박, 오이, 잔디, 토마토, 포도 □ 주의사항 1. 동절기 하우스의 잿빛곰팡이병 방제용으로 안전사용기준 미등록 작물(특히 가지, 참나물)에 살포 금지 2. 수화제는 농도가 높아 작물 재배 초기에 사용해도 장기간 잔류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안전사용기준 준수 (12월 정식 후 살포한 농약이 3개월 후에도 검출되는 사례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