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세균병 (20)
IPM을 꿈꾸는 사람들

지금쯤 과수원에서는 수정이 끝난 어린 과일이 자라고 있습니다.올해는 배 개화기에 저온에 의해 꽃 수정률이 좋지 않습니다.내심 배 적과 할 배가 없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됩니다. 배 생육기에 접어 들면 과수 화상병이 발생할 우려가 높기 때문에 " 생육기 정기 1차 합동 예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정기 예찰은 5월, 6월, 7월, 10월 총 4회에 걸쳐 이루어집니다. 사과도 수정을 끝낸 유과가 자라고 있습니다. 이 시기는 어린 과일을 1차 적과를 하는 농장도 있습니다. 하지만 후지품종은 수정률이 좋지 않아 과실이 전혀 달리지 않은 나무가 많습니다. 올해도 사과값이 만만치 않아 보입니다. 과수원 중간중간에는 새순이 자라고 열매가 쑥쑥 자라는 나무가 있는 반면 군데군데 죽은 나무도 만날 ..

과수 화상병은 Erwina amylovora의 그람음성 간균에 의한 세균병으로 사과, 배, 모과 등 장미과 식물에 가장 치명적인 세균병입니다. 화상병에 걸린 기주식물은 잎, 꽃, 가지, 줄기, 과실 등이 불에 탄 듯 변하다가 식물 전체가 고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주식물이 화상병원균에 감염되면 병징이 즉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식물체의 생육 상태나 기상환경에 따라 발현되어 방제가 매우 어렵습니다. 화상병은 생물적 특성에 따라 계절별로 특징적인 병징을 가지고 있는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화상병의 병징은 병원균의 활동이 왕성한 봄철의 병징입니다. 병원균이 활성화되는 봄철과는 달리 병원균이 월동하는 겨울철의 병징의 특징은 전년도에 나뭇잎이 미처 낙엽이 지지 못해 잎을 매달고 있습니다...

화성특례시는 2024. 11. 11.부터 2025. 4월까지 과수 화상병 사전예방 중점기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중점기간 시기는 과수 생육기 이전으로 병원균이 잠복하고 있는 궤양 부위 또는 기주를 제거하여 사전예방을 통해 과수 화상병 확산을 차단하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전년도 발생 과원 주변은 병원균이 잠복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고, 전염원으로서의 역할을 하여 지속적인 발생이 우려되므로 전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필요로 합니다. 중점 운영기간에는 관리과원*, 인근과원 등 과수 화상병 발생이 우려되는 과원을 중점적으로 예찰하며,* 관리과원: 부분제거 과원, 발생과원의 동일 경작자 과원, 인접과원, 감염이 의심되나 전형적인 병징이 확인되지 않은 과원 등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과원을 ..

앞선 방문한 고추밭의 옆 줄에 심겨진 토마토에서도 Xanthomonas sp. 에 의한 세균성점무늬병이 발생하였습니다. 고추를 심는 김에 집에서 먹을 토마토를 심어 놓으셨는데요.고추와 토마토는 같은 가지과 식물로 고추를 침입하는 병해충은 토마토도 좋아합니다.(에구궁~~~ㅠ.ㅠ) 토마토에서의 증상도 처음에는 축축한 작은 반점을 시작하여 반점이 커지고 더 각지게 변하면서 합쳐집니다. 병반의 중심부는 건조해지면서 떨어져 나갑니다.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는 반점들이 잎자루와 줄기에서도 나타나며, 길고 어두운 줄무늬가 생깁니다. 세균성병의 고유한 특징인 노란색의 달무리가 나타나고, 줄기에 나타난 궤양은 길고 좁으며 거칠고 밝은 갈색을 띱니다. 세균성점무늬병의 발병온도는 24 ~ 30℃로, 비,..

노지에서 재배 중인 고춧잎에서 처음에는 흰색이었는데 점차 꺼뭇꺼뭇해진다고 연락이 옵니다. 퇴근 후 문제가 되고 있는 고추밭에 들러보니, 말씀하신 대로 잎에 회갈색의 작은 반점들이 찍혀 있네요. 조금 더 진전되면 중심부가 흰색으로 변하면서, 가장자리는 암갈색을 띠게 됩니다. 병이 조금 더 진전되는 잎에서는 노랗게 변하고, 고추나무의 하엽에는 증상이 심해진 잎들이 세로로 말리면서 노랗게 낙엽이 집니다. 고추 과실의 과경에도 갈색의 둥근 반점이 형성되고, 잎에서 처럼 암갈색의 부정형 반점으로 확대되고, 노랗게 변하게 됩니다. 고추 탄저병인가 하여 열심히 탄저병 약으로 방제를 하셨다고 하는데 ㅠ.ㅠ 탄저병이 아닌 세균성점무늬병으로 진단해 드리니, 허탈해 하시네요. 고추 세균성점무늬병은 Xanthomonas 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