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딸기 (14)
IPM을 꿈꾸는 사람들

화성 로컬푸드 인증심사를 위해 딸기 농장을 방문했어요. 인증심사를 마치고 그 동안 근황을 여쭈어 보니 요새 딸기 2화방에서 기형과가 많이 발생되는데 그 이유를 잘 모르겠다고 하시네요. 저는 딸기를 전문으로 하지 않아 잘 모르겠다고 말씀드리고 나왔지만 사무실로 돌아와서 그 원인이 궁금해서 머릿 속에서 내내 맴돕니다. 딸기 기형과에 대해 알아보면 정상적인 과일과 다른 이상한 모양의 딸기를 말하며 대부분 수정불량에 의해 발생된다고 합니다. 주로 매개충인 벌의 활동이 둔해지는 겨울철 딸기 재배에서 많이 발생하는데요. 이 농가분은 벌들이 날개짓을 하면서 이 꽃 저 꽃을 날아다니고 있어 수정에 의해 기형과는 아니라고 생각하시는 것 같아요. 말씀을 들어보니 요즘 날씨가 계속 추워서 난방을 계속하다보니 온실이 건조하다..

요즘 살아있는 동물의 먹이 사슬을 활용한 생물적 방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흔히 이들을 천적이라고 부르는데, 포식성과 기생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농약에 의존하지 않고 천적이 잘 살 수 있는 최적의 환경 조건을 맞추어 주면서 해충의 밀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제 방법으로 딸기, 파프리카, 토마토 등 시설 채소 재배 농가분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오~ 겨울~ 춥다~! 겨울이 오니 눈도 자주 오고 찬바람에 손이 시려 옵니다. 추운 겨울 ~ 하우스 안에서는 딸기가 자라고 있네요. IPM실험실로 딸기 병해충 진단이 들어왔어요. 딸기 열매를 받치고 있는 꽃받침 뒤에 하얀 가루 같은 것이 묻어 있고, 까만 곰팡이도 언뜻언뜻 보입니다. 현미경으로 들여다 보면 진딧물의 탈피 흔적들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습니다. 진딧물의 탈피 흔적 주변으로 까만 곰팡이들이 자라고 있습니다. 노린재목인 진딧물이 분비한 감로를 먹고 자라는 그을병원균 입니다. 겨울철 노지에서는 진딧물이 월동기주의 겨울눈 부근에서 알로 월동을 하지만, 겨울철 하우스 안에서 진딧물은 알로 월동을 하지 않고 계속해서 활동을 합니다. 그래서 초기에 진딧물 방제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진딧물에 의한 흡즙 피해..
올해 처음 딸기를 재배하시는 농가분의 포장을 다녀왔어요. 공사가 다망하셔서 울금 수확 전 준비를 위해 출타를 하고 안 계셔서 500평 남짓한 5동 딸기 온실을 한 동 한 동씩 느긋하게 구경을 할 수 있었어요. 그런데 얼마나 바쁘신지 런너가 길게 자라도록 그냥 내버려 두었네요. 이 딸기 농장의 특징적인 것은 런너의 중간이 갈색으로 변한 부분이 있다는 거예요. 궁금하면 바로 시료 채취~ 주인장이 안 계실 땐 눈치 보지 않고 채취 채취~ 지퍼백에 담아서 IPM실험실로 가져옵니다. 갈색으로 길게 진전된 런너를 PDA와 WA에 배양해 봅니다. 회색 자실체를 띠는 잿빛곰팡이 병원균이 자라 나오고, 분생포자경에 달려있던 달걀 모양의 분생포자가 떨어져 나옵니다. 시설딸기를 재배하는 겨울 온실은 저온 다습한 환경으로 잿..
딸기가 시들면 어떻게 할까요? 여러 해 동안 딸기가 시들면 시든 딸기를 뽑아내고 보식을 하곤 했던 농장을 방문해 봅니다. 딸기가 시들어 가고 있어요. 농장주는 벼 베기를 하러 논으로 나가서 안 계셔서 혼자 농장을 둘러보다가 시든 딸기를 버리는 잔재물 더미에서 딸기 시료를 건져 옵니다. 관부가 적살색으로 갈변되고 아래쪽은 벌써 암갈색으로 변하여 썩어 버렸습니다. 적갈색으로 변한 관부조직을 PDA와 WA에 배양해 봅니다. 탄저병 균사가 자라나옵니다. 균사체를 조금 떼어 현미경을 관찰해 보면, 분생포자층에서 빠져나온 Colletotrichum sp. 분생포자가 관찰됩니다. 베드에 정식된 딸기에 발생하는 딸기 탄저병 분생포자는 관개나 사람 등에 의해 인근 식물로 전반 되므로 병든 딸기는 바로 제거 후 비닐팩에 ..
딸기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입니다. 어느 날 딸기 진단과 방제 책을 보다가 이상한 점을 발견했어요. ' 왜 딸기 시들음병은 짝재기병일까? ' ' 세 잎의 크기가 다른 증상은 시들음병으로 진단할 수 있을까? ' 하는 의문이 들었어요. 그때 마침 농가에서 적당한 시료가 들어왔어요. 다른 딸기보다 생육이 저조한 딸기 시료입니다. 뿌리가 흑색으로 썩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옆으로 돌려 보면 죽어 있는 뿌리 위 쪽 부분에 새로운 뿌리가 자라 나온 것을 볼 수 있어요. 뒷면을 보면 새로 나온 뿌리는 전에 자라고 있던 개체의 것이 아니라 옆 눈에서 새롭게 나온 개체인 것을 알 수 있어요. 즉, 까맣게 죽어가는 뿌리의 개체 잎사귀는 잎의 가장자리가 갈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