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장미 (6)
IPM을 꿈꾸는 사람들
장미 잿빛곰팡이병을 일으키는 Botrytis cinerea 병원균은 최적 생장, 포자형성, 포자 방출과 발아 그리고 감염 후 정착을 거치는 생활환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저온(18 ~ 23도)과 다습한 조건이 필요합니다. 이 병원균은 저온에서 감염을 잘 일으키므로 만약에 0 ~ 10도의 온도에서 오랜동안 저장 중인 식물이나 겨울철 시설하우스에서 재배되는 화훼류나 채소류에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장미 분화를 재배하는 시설하우스에서 꽃과 줄기가 마르면서 시들어 죽어갑니다. 병든 부위를 배양해 봅니다. 풍부한 회색 곰팡이 균총이 PDA배지를 덮습니다. 풍부한 회색 균사와 더불어 길고 분지된 분생포자경에 포자가 포도송이처럼 매달려 있습니다. 분생포자경에 매달려 있는 분생포자는 알알이 쉽게 떨어지고 기류를 따라 ..
예쁜 장미꽃을 농가에서 선물로 주셨어요. 화려한 장미꽃색이 아주 예쁩니다. 색색별로 장미꽃을 사무실에 꽂아 둡니다. 주신 장미꽃을 가져다 화병에 꽂아 우리 집 식탁을 장식해 봅니다. 집에 꽂아둔 장미는 괜찮은데, 사무실에 꽂아둔 보라색 장미꽃이 고개를 떨구면서 시듭니다. 장미꽃 꽃대 윗부분에 흰가루가 하얗게 피어 있네요. 포자를 메스로 긁어서 현미경으로 관찰해 봅니다. 장미의 흰가루병을 일으키는 Sphaerotheca pannosa로 진단됩니다. 위의 사진처럼 흰가루병원균이 장미의 꽃대를 침해하면 꽃대가 쭈글쭈글해지면서 시들고 힘이 없어서 고개를 떨구게 됩니다. 같은 농가에서 재배한 장미꽃도 품종에 따라서, 같은 품종인데도 꽂아둔 장소에 따라서 흰가루가 발생하고 하고 발생하지 않는 다른 점이 관찰됩니다...
장미의 유묘가 갈색으로 변하고 죽어 갑니다. 깨끗한 물로 씻어 봅니다. 장미의 뿌리가 검게 썩어 있습니다. 병든 부위를 잘라 배지에 치상해 봅니다. 빠르게 흰색 균사체가 덮는 Pythium 균이 자라 나옵니다. Pythium 균은 전 세계적으로 물과 토양 속에 널리 분포합니다. 죽은 식물위에서 부생균으로 살거나 식물의 잔뿌리를 침해하는 기생체로서 살아 갑니다. 이 병원균은 유주포자가 유영하여 감염을 일으키는데 물이 꼬옥 필요합니다. 수분이 많은 토양에 Pythium 균이 심하게 오염되면 종자 또는 종자로 부터 나온 어린 식물체는 거의 대부분 이 균류에 의해 침해를 받게 됩니다. 장미병 진단을 의뢰하신 베드 재배를 하는 장미 주인장님께서는 병든 장미는 조기에 제거하여 전염원의 밀도를 낮추고, Pythium..
총채벌레는 입의 구조가 줄쓸어빠는 입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줄이란 목공 또는 금속공작에서 작은 덩어리를 떼어 내거나 표면을 다듬기 위해 쓰는 연장을 말합니다. 궁금하신 분은 포털 검색하시어 보세요.~ 총채벌레는 왼쪽 큰턱과 작은 턱이 긴 바늘처럼 생겼으며 이 빨대구조가 식물의 조직을 줄 쓸듯 가는데 사용됩니다. 이렇게 갈아서 즙이 나오면 그 즙을 빨아먹는데, 빨대 구조는 즙을 빠는 데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반면 오른쪽 큰 턱은 기능을 잃고 작게 퇴화되어 있어 입구조는 전체적으로 비대칭입니다. 따라서 총채벌레목은 줄쓸어빠는 비대칭형을 입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총채벌레가 가해하는 부위에 따라 피해가 다르게 나타나는데요. 어린 잎을 흡즙 하였을 때에는 새순은 갈색 반점이 생기고, 기형이 되..
겨울과 봄 사이에 화사한 장미는 우울했던 마음도 환하게 비쳐 줍니다. 그런데 누군가(?) 장미의 꽃잎 변색과 지저분한 흔적을 남겼네요. 범인을 찾아서... 하얀 백지를 깔고 장미의 꽃잎을 흔들어 털어네요. 아~ 하이얀 백지 위로 떨어지는 물체는 앗~ 총채벌레의 유충과 성충 총채벌레는 장미와 같은 화훼작물에서는 꽃을 흡즙 하여 변색시키거나 지저분한 흔적을 남기며 고사시킵니다.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쉽게 발달하기 때문에 약제방제의 단독 사용보다는 총채벌레의 종합적 병해충 관리를 하여야 합니다. 약제 저항성 발달을 억제하기 위해 작용기작이 다른 약제를 교호로 살포하여야 하며, 장미의 꽃받침, 엽육, 엽맥 등의 조직 속에 산란된 알은 방제효과가 낮으므로 3~5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