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농업경영컨설팅 (20)
IPM을 꿈꾸는 사람들

본 자료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 농업전망 2025 ' 내용을 요약한 자료입니다. 수입과일 동향 및 전망자료를 참고하여 영농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수입 동향1.1.1. 전체 수입 동향● 주요 신선과일 수입량 및 수입액은 시장 개방 확대로 2018년까지 꾸준히 증가하였으나 이후 엘니뇨로 인한 산지 작황 부진, 코로나19로 인한 선박 운임 상승 및 일정 지연, 환율 상승 영향 등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음. 최근 2년(2023~2024년) 동안은 국내산 과일 생산량 감소 영향으로 할당관세가 시행되면서 신선과일 수입이 다시 증가하였음. 2024년 11월까지 신선과일 수입량은 전년(2023년) 동기 대비 18.5% 증가한 72만 5천 톤이었고, 수입액은 19.0% 증가한 13억 5천만 달러였음. ..

본 자료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 농업전망 2025 ' 내용을 요약한 자료입니다. 단감 동향 및 전망자료를 참고하여 영농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수급 동향○ 단감 재배면적은 농가 고령화 및 노동력 부족과 소비 감소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2010년 1만 5,244ha에서 2020년 8,404ha로 감소하였으나 이후 태추 등 신품종 신규 식재로 9천 ha 내외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 단감 생산량은 재배면적 감소에도 불구하고 단수 증가에 따라 2014년 17만 5천 톤까지 증가하였으나 이후 작황 부진 등으로 2020년까지 8만 9천 톤으로 감소하였음. 2020년부터 2023년까지는 9만 톤 내외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 2024년 단감 재배면적은 전년(2023년)과 비슷한 9,227ha..

본 자료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 농업전망 2025 ' 내용을 요약한 자료입니다. 포도 동향 및 전망자료를 참고하여 영농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포도 수급 동향1.1.1. 생산 동향○ 포도 재배면적은 농가 고령화, 도시개발, FTA 폐업지원사업 등으로 포도 농가수가 빠르게 줄어들면서 2010년 1만 7,572ha 에서 2019년 1만 2,676ha까지 감소하였음. 2020년 이후 포도 재배면적은 샤인머스캣 면적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2023년 4,706ha까지 회복되었음. ○ 포도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줄어들면서 2019년까지 감소하였으나, 샤인머스캣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최근 4년간 증가세를 보였음. ○ 2024년 포도 재배면적은 전년(2023년)과 비슷한 1만 4,649ha이었음. 유목..

본 자료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 농업전망 2025 ' 내용을 요약한 자료입니다. 복숭아 동향 및 전망자료를 참고하여 영농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수급 동향1.1.1. 생산 동향◇ 복숭아 재배면적은 FTA 폐업지원사업으로 포도에서 복숭아로 전환한 농가가 많아 2010년 1만 3,908ha에서 2017년 2만 1,030ha로 증가하였으나 이후 2023년까지 2만 ha 수준을 유지하면서 연평균 0.7% 감소하였음. ◇ 복숭아 생산량은 재배면적 확대에 따라 2010년 13만 5천 톤에서 2017년 22만 2천 톤으로 증가하였으나 기후변화로 병해충 및 생리장해 발생이 늘면서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3.2% 감소하였음. ◇ 2024년 복숭아 재배면적은 전년(2023년) 대비 0...

본 자료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 농업전망 2025 ' 내용을 요약한 자료입니다. 감귤 동향 및 전망자료를 참고하여 영농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수급 동향1.1.1. 생산 동향○ 감귤 재배면적은제주도 내 재배면적 2만 ha 유지 정책 등으로 큰 변화 없이 2020년까지 2만 1천 ha 수준을 유지하였음. 2021년 재배면적은 수익성이 좋은 하우스 온주 및 만감류 재배면적 증가와 내륙 지역의 재배 증가로 2만 2천 ha를 넘어섰음. ○ 기후변화에 따른 감귤 재배 가능지역이 확대되며, 호남, 영남, 충청 일부 지역에서 감귤이 재배되고 있음. 내륙산 감귤의 경우 시설재배가 많고, 만감류 재배비중이 높음. 내륙 감귤 재배면적 비중은 1% 미만이며, 최근 생산비 상승과 해거리 및 기상여건 악화 등으로..

본 자료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 농업전망 2025 ' 내용을 요약한 자료입니다. 배 동향 및 전망자료를 참고하여 영농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배 수급 동향1.1.1. 생산동향● 배 재배면적은 도시화, 농가 고령화, 소득 감소 등으로 2010년 16,239ha에서 2020년 9,091ha로 연평균 5.6% 감소하였음. 이후 배 재배면적은 출하시기 분산, 가격 안정을 위한 국내 육성품종 보급사업이 시행되면서 평균 9,500ha 수준을 회복하였고, 현재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 배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줄면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다만 최근 들어 봄철 저온, 여름철 폭염 등 잦은 이상 기상 현상으로 매년 생산량 변화폭이 커지고 있음. ● 2024년 배 재배면적은 전년(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