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심포리카포스 (5)
IPM을 꿈꾸는 사람들
심포리카포스를 재배하시는 농가분이 작년부터 뿌리에 하얀 부분이 보이면서 작물이 죽어간다며 진단을 의뢰하셨어요. 작년에는 균핵병으로 진단을 받으셨다는데 올해도 같은 증상이라 IPM실험실로 진단 의뢰가 들어왔어요.~ 뿌리 주변으로 밀가루 같은 하얀 것을 관찰할 수 있어요.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해 봅니다. 글쎄요.~ 시료가 말라있어서 그런지 살아있는 물체 같지는 않아요. 그런데 불가리 모양을 한 특이한 것이 있어 사진으로 남겨 둡니다. 뿌리를 관찰하다 보니 갱도와 해충의 분비물이 보입니다. 껍질이 핀셋으로 잘 벗겨지는데요. 여기도 이상한 물체가 있네요. 이번에는 실을 풀어서 잘 만든 둥지가 보입니다. 이 주머니 둥지 안에 까만 물체가 보이네요. 이 놈이 주머니 둥지 안의 주인님이십니다.~ 뿌리를 하얀 게 만든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NEmW4/btrvX6QALfQ/dQ4ESNMpqYQ42CoDfl0nc1/img.jpg)
내년 1월 1일부터 농약 잔류허용물질 목록화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됩니다. 그래서 저희 팀에서는 농약 안전 사용과 PLS제도 교육을 4회에 걸쳐 IPM실험실 진단 의뢰 농가분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습니다. 교육에 오시면서 재배하시는 심포리카포스를 가지고 오셨어요. 아주 훌륭한 교육생의 자세 입니당~^^ 심포리카포스의 줄기는 회백색으로 변하고, 그 위에 까만 포자들이 늘어서 있네요. 까맣게 보이는 분생포자각을 채취하여 플레파라트를 만들어 현미경에서 관찰해 봅니다. 분생포자각에서 분생포자들이 분출되어 나옵니다. 400배로 확대해 봅니다. 심포리카포스에 발병한 병원균은 Botryosphaera sp.로 동정됩니다. 이 병에 걸린 병든 가지는 전정 후 소각하여 제거해 주세요.
농촌지도사로 근무하면서 제일 어려운 작물이 뭐냐고 묻는다면 뭐니 뭐니 해도 화훼류 인 것 같아요. 왜냐하면 " 첫째, 이름이 너무 어렵다. 둘째, 작물이 너무너무 다양하다. 셋째, 유행이 너무 자주 바뀐다. 넷째, 알려진 병해충이 별로 없다. 그러므로 병해충 병명 목록과 방제 매뉴얼도 별로 없다. 따라서 농가도 제대로 된 작물의 재배환경이나 관리법을 잘 모르므로 스스로 재배하면서 시행착오를 거치고 스스로 터득하시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 오늘의 주인공도 예외는 아닙니다.~ 처음 꽃이 피고 열매가 맺힌 걸 보았을 때 번득 드는 생각이 블루베리를 많이 닮았다는 것입니다. 안타깝게도 먹지는 못 한다네요. 그런데 이런 꽃나무가 줄기가 말라가면서 까맣게 포자가 보입니다. 안 보인다면 마음의 창을 열고, 자세히 보..
전편에 이어서 심포리카포스가 재등장 합니다. 온실에서 키우고 있는 화훼류인데요. 잎 뒷면이 지저분하고 잎에 흰색 불규칙한 반점으로 충의 식흔 흔적이 보입니다. 열매를 따서 보면 열매의 표면도 충에 의해 찝힌 자국이 보입니다. 현미경으로 확대해서 보면 어린 열매에서도 다 자란 열매에서 보이는 상처가 보입니다. 어린 열매 사이로 헤집고 다니는 이 녀석은 총채벌레 입니다. 잎에서도 총채벌레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꽃잎을 반쪽으로 잘라 꽃 속을 관찰해 보면, 총채벌레의 어린 약충을 볼 수 있어요. 총채벌레는 약충, 성충이 모두 어린 순, 꽃 또는 잎을 흡즙 하면서 살아갑니다. 피해를 받은 어린 순의 흡즙 부위는 갈색 반점이 되고 다 자란 후 뒤틀린 기형의 잎이 됩니다. 총채벌레는 꽃이 필 무렵부터 꽃의 내부나 ..
올해는 유난히 덥고 비도 오지않아 건조했던 여름이였네요. 그래서 농작물 재배가 힘든 한해였어요. 사람이 먹기 위해 재배하는 것은 아니지만 화훼류도 관리가 이만저만 힘든게 아니예요. 병도 문제지만 해충이 유독 심하게 발생하였어요. 아래의 화훼류는 심포리카포스라는 과실이 아름다운 나무입니다. 그런데 잎이 시들었다면서 진단의뢰가 들어왔어요. 잎끝이 진갈색으로 타들어 가듯이 갈변되어 있습니다. 잎를 찬찬히 살펴보면 하얗게 약흔이 묻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병든 잎 뒷면을 살펴보면 충 피해의 흔적으로 지저분하지만 특이하게도 잎 끝에서 타들어가면서 물결무늬로 기형이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어린 열매가 말라버리거나 착과된 열매가도 많지 않아요. 재배농가분에게 재배관리 사항을 여쭈어 봅니다. ' 올해 병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