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목록들깨 (2)
IPM을 꿈꾸는 사람들
들깻잎이 오글거린다고 문의가 들어왔어요. 잎이 안쪽으로 말리면서 오글거리네요. 잎 뒷면을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해 보아요. 진딧물의 허물들이 보이고, 어린 진딧물 약충들이 들깨잎 뒷면에 숨어 있어요. 들깨의 잎 표면은 울퉁불퉁하고 털이 많아요. 즉 표면적이 아주 넓지요. 들깻잎에 발생한 진딧물을 방제하고자 할 때는 이 점이 고려되어야 해요. 들깻잎은 식용으로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진딧물 방제를 위해서는 반드시 수확 전 약제처리 시기와 횟수를 지켜 주세요. 그렇지 않으면 들깻잎의 울퉁불퉁한 표면적에 의해 처리된 농약이 잔류되어 잔류농약 허용기준을 초과할 수 있습니다.
해충
2018. 7. 24. 18:57
들깨 모종을 심은 후 들깨가 죽어 갑니다. 같은 날 심었는데도 띄엄띄엄 살아 있는 들깨의 생육이 차이가 납니다. 심하게 죽은 들깨와 병이 진행되고 있는 들깨를 뽑고, 병들어 죽어가는 들깨 옆 토양을 군데군데 채취하여 실험실로 가져 옵니다. 들깨의 뿌리와 줄기의 아래쪽 부근에서 갈변 되어 가는 것이 보입니다. PDA배지에 배양을 해 봅니다. 들깨에서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Fusarium oxysporum균이 배양되었습니다. 토양의 pH는 6.8 ~ 7.0 정도로 일반토양보다는 높습니다. 전기전도도는 4.0 ~ 4.5 ds/m 로 기준치인 0 ~ 2 이하를 훨씬 넘습니다. Fusarium 균은 토양 수분의 불균형에 의해 식물체가 스트레스를 받아 약해질 때 침입을 많이 합니다. 따라서, 전기전도도가 높은 토양에..
비생물적인 요인
2017. 8. 4. 1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