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목록심비디움 (2)
IPM을 꿈꾸는 사람들
겨울철 화훼인 심비디움에서 진딧물이 발생했어요. 진딧물의 흡즙 자국에 갈색의 상처와 반점이 찍혀 있네요. 이런 경우 꽃의 품질이 확연히 떨어지게 됩니다. 진딧물은 연간 세대수가 많고, 밀도 증식이 빠른 해충이므로 효과적인 약제를 사용하더라도 한 약제를 계속해서 사용하면 약제 저항성이 유발할 수 있습니다. 꽃의 경우 진딧물 약제를 꽃에 직접적으로 살포하기보다는 진딧물이 싫어하는 백색이나 청색 테이프를 둘러쳐서 진딧물의 비래량을 줄이는 방법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해충
2017. 2. 23. 15:57
심비디움 탄저병은 잎이 말라 시들어가면서 탄저병 특유의 분생포자층이 생깁니다. 이들 분생포자충에는 수많은 분생포자가 존재하고, 나중에는 분홍색이나 살구색을 띤 포자 덩어리가 병반 표면에 나타납니다. 이 병원균은 병든 식물의 잔재나 종자의 내외부에서 월동하며, 초기에 잎이나 어린 줄기에는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약하게 감염되지만 고온다습하거나 강우가 지속되면 병원균의 감염은 확대되어 대발생의 피해를 입히게 됩니다. 그러므로, 병든 식물체는 조기에 제거하여 소각하며, 병발생 초기에 탄저병 적용약제를 교호로 살포하여야 합니다.
곰팡이병
2017. 2. 22. 1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