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탄저병#Colletotrichum#종합적병해충관리 (2)
IPM을 꿈꾸는 사람들
실내 정원식물로 호야를 기르는 분들이 많아요. 호야 단독 자체도 예쁘지만, 다른 식물과 같이 심으면 더욱더 빛나 보이죠. 이런 호야가 아프다고 호야 기르는 농장에서 연락이 왔어요. 잎과 줄기에 까맣게 점이 박히고 쭈글쭈글해지면서 말라 갑니다. 포자를 떼어 현미경으로 관찰해 봅니다. 탄저병 포자가 보이네요. PDA 배지에 길러 봅니다. 호야 탄저병(Colletotrichum sp.)으로 진단됩니다. 탄저병 포자가 전반 되지 않도록 병든 잎과 줄기는 제거하고, 다른 건전한 호야 화분으로 전염되지 않도록 탄저병 약제를 교호로 살포하여 주세요. 호야는 건조에 강하지만 배수가 잘 되는 상토에서 적당한 습도가 유지되도록 물관리를 하고, 원산지가 열대지방이므로 난방을 하여 8 ~ 10도 이상 유지시켜 튼튼하게 자라도..
죽어가는 작약에서 Septoria병이 발생했는데요. 작약의 줄기에서 점무늬병과 다른 병징이 관찰됩니다. 작약 줄기 중간 부위에 적자색의 융기된 병반이 보입니다. 이 부위를 PDA와 WA배지에 길러 봅니다. PDA에서 자란 배양 균총과 분생포자 사진입니다. Colletotrichum sp.에 의한 작약 탄저병으로 진단합니다. Colletotrichum균이 일으키는 탄저병은 수많은 작물과 관상식물에서 흔히 발생하여 심각한 피해를 일으킵니다. 탄저병은 잎, 줄기, 꼬투리, 과실에서 병을 일으키며, 올해 7 ~ 8월처럼 높은 온도와 습도 또는 습한 기후를 선호합니다. 분생포자는 분생포자층이 습할 때만 방출되어 전파되는데, 대개 물방울에 튀거나 빗방울에 날리거나 곤충, 동물, 기타 도구 등에 접촉되어 전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