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M을 꿈꾸는 사람들
샤인머스캣 포도 퇴비 욕심은 과유불급 본문
조기가온을 하고 있는 스마트팜 농장에서 포도 발아 생육이 불균일하다고 컨설팅 요청이 옵니다. 아직은 3월 초이지만,
가온하우스에서는 포도가 발아하여 화수를 물고 나와 신기하기도 하고, 어린 포도잎이 너무 귀엽기도 하네요.
낮동안 태양으로 달궈진 물온도를 이용하여 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농장 주위에 물주머니, '축열주머니'를 설치해 놓으셨네요.
이 물주머니 하나로 밤온도를 3℃를 유지시킬 수 있다고 하니, 난방비 절감에 확실히 도움이 되겠군요.!!!
오늘 농장을 찾은 주된 이유인
농장주분께서 고민하는 내용은 바로 포도 발아가 차이가 난다는 점입니다. 하우스를 중심으로 뒤쪽은 발아가 빠른 반면
하우스의 앞쪽은 아래의 사진처럼 발아가 늦어 고민이시다네요.
발아가 늦은 앞쪽에는 배수가 잘 안 되어 땅이 질은 상태이고, 이끼도 끼여 있습니다.
현장진단을 해보니
토양수분 함량이 45.3%, 토양전기전도도는 3.35ms/cm으로 수분함량도 높고, 전기전도도 또한 2 ms/cm 이상으로 높게 관리되고 있습니다.
물을 관주 하는 배수라인에서 흘러나온 물은 퇴비에서 추출된 '커피색 '을 띠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샤인머스캣 새싹의 절간 길이는 연약해지고, 도장끼를 띄고 있습니다. 올해 초에 시비한 퇴비는 부숙이 잘 되지 않아 흙색이 까맣고, 질소와 인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녹색의 이끼가 끼여 있습니다.
농장주분께서 주신 퇴비 포대를 살펴보니
마분 30%, 돈분 20%, 계분 25%, 우분 5%, 양분 0.1%, 녹분 0.1%, 견분 0.05%, 메추리분 0.05%, 버섯배지 0.7%, 톱밥 19%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유기물 함량은 버섯배지와 톱밥을 합쳐도 19.7%로 20%가 채 되지 않은 ' 생*거름 '입니다.
이러한 가축분퇴비는 유기물 함량이 높지 않아 부숙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특히 하우스 재배에서는 토양에 시비 후 부숙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피해를 입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포대 뒷면에 있는 주의사항을 살펴보면 질소화학비료, 석회 등 알칼리성 비료, 건계분 등 타제품과는 혼용을 하지 말라고 적혀 있습니다.
보통 수령이 어린 포도나무는 퇴비를 많이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샤인머스캣과 같은 유럽종 포도는 특히 질소성분을 많이 함유하는 퇴비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샤인머스캣 품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퇴비로 공급되는 질소성분은 암모니아태-질산태-아미드태-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야 포도나무에 최종 흡수가 되는데 이 분해 과정은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토양에 시비된 퇴비가 분해되어 최종 산물인 아미노산으로 흡수되는 기간이 오래 걸리다 보니, 샤인의 과일 비대기가 끝나고, 연화기(변색기)로 들어가는 시점에 과잉의 질소 공급원이 공급됨에 따라 생장생장인 성숙기로 전환되지 않고, 영양생장을 계속하는 생리적 이상을 겪게 됩니다.
샤인머스캣 등 유럽종 포도는
조직이 무르고, 물관이 크다 보니 수세가 강하고, 주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수세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유기물이 많이 있는 탄소 중심의 왕겨, 볏짚, 톱밥에 우분이 섞인 퇴비를 주시고, 토양의 EC가 높지 않도록 관리하여 염류집적을 낮추어야 합니다. 또한 신초생장기인 어린 줄기가 도장하지 않도록 신초의 자람세를 보아 가면 물을 줄여 주어야 합니다.
결론을 말씀드리자면
샤인머스캣과 같은 유럽종 포도는 캠벨과 같은 미국종 포도품종과는 달리 질소비료를 많이 주지 않으며, 주는 퇴비의 주성분도 탄소성분을 많이 함유한 유기질 퇴비를 전년도 수세를 보아 가면 수확기 이후 늦가을에 시비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신초생장기에는 조직이 무르고 물관이 크다 보니, 신초의 자람세를 보아 가면 관주 하여 튼튼한 줄기를 키우시길 바랍니다.
'과수 현장컨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도 빈가지 발생 주의 (0) | 2025.03.17 |
---|---|
지온을 높여요.!!! (0) | 2025.03.11 |
월동 병해충을 방제를 위한 석회유황합제 살포 (0) | 2025.03.04 |
아열대작목 현황 조사 (0) | 2025.02.18 |
사과나무 수세 관리를 위한 정지 전정법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