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M을 꿈꾸는 사람들

참깨 잘록병 본문

곰팡이병

참깨 잘록병

오늘을 살아 2017. 8. 21. 19:08

참깨가 수확기를 앞두고

꼬투리가 여물어 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참깨의 아랫쪽 줄기 부분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짓물러 갑니다.

 

 

 

 

확대해서 보면

병의 진전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갈색의 수침 병징이

옆에 있는 건전한 참깨와는

확연히 구분이 됩니다.

 

 

 

 

병든 참깨를 뽑아서

실험실로 가져 옵니다.

 

 

 

 

아래쪽 줄기의 표피가

물러지면서 벗겨지고 있네요.

 

PDA 배지에 배양을 해 봅니다.

 

 

 

 

Macrophomina에 의한

참깨 잘록병으로 진단이 됩니다.

 

참깨 잘록병은

토양전염성병이므로

 

병든 참깨는

뿌리채 뽑아서 제거하여

다음 해의 1차 전염원이 되지 않도록 합니다.

 

잘록병을 방제를 하기 위해서는

토양에 유기물을 충분히 시용하고,

 

주기적으로 관수하여

참깨가 수분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외국 논문에 의하면

병 발생 초기에

참깨 잎마름병의 약제인

베노밀, 카벤다짐, 프로피네브 등이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올해 병이 발생한 포장에서는

 

내년

참깨를 심기 전

종자소독을 실시하고

 

병이 발생하기 전에

참깨 잎마름병 약제를 살포하면

참깨 잎마름병과 잘록병을

동시 방제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곰팡이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ptoria에 의한 점무늬병  (0) 2017.09.29
콩 탄저병 포장 관찰  (0) 2017.08.23
토마토 잎곰팡이병  (0) 2017.08.18
장미의 유묘 고사  (0) 2017.08.04
사과열매에 발생한 그을음병  (0) 2017.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