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스마트팜은 SMART하게 (27)
IPM을 꿈꾸는 사람들

올해 2월도 기온이 한참 오르다가 꽃샘추위를 몇 사례를 겪는 급변하는 날씨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 2월 한달 동안 최고기온이 20도를 넘어가기도 하고, 최저기온이 -6.2도로 떨어지는 등 기온이 오르락 내리락 하는 등락을 보이는 날씨가 급변하는 날이 많았던 2월의 날씨 입니다.

2024년 1월 15일부터 2월 15일까지 스마트팜 내부온도와 토양지온의 변화를 관찰해 봅니다. 하우스 내 천측창과 환기시설, 보일러 등을 활용하여 조기 가온을 한 스마트팜 농장은 하늘색의 내부기온이 큰 폭의 등락 없이 잘 유지되고 있습니다. 반면 검은색의 지온은 1℃를 올리는데 많은 일수를 필요로 하지만 느린 거북이처럼 한걸음 한 걸음씩 올라가고 있네요. 드디어 2월 14일에 지하부의 뿌리 발달과 양분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는 지온 12℃에 도달하였네요. 해가 나지 않는 날, 낮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보온커튼은 닫히고, 방열팬을 돌아 공기교란을 교란시키고, 열을 발산시켜 내부온도를 잡아주고 있네요. 2월 이맘때쯤 하는 농작업을 살펴보면, 충분한 관수 후 퇴비와 석회를 시용하고, 퇴비의 발효를 촉진하기 ..

포도의 조기출하를 위해 하우스 커튼을 치고, 열을 가두면서 하우스 가온을 준비합니다. 하우스 내부기온은 그날의 날씨에 따라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오르지만, 토양지온은 꾸준히 오르는 양상을 보입니다. 지온을 높이기 위해 토양관수를 충분히 한 후 검은색 비닐을 덮어 주어요. 토양지온이 10도가 오르면서 포도나무 수액이동이 시작됩니다. 수액이동은 포도나무가 휴면에서 깨어나 내부에 영양분과 물을 전달하는 과정으로 포도나무가 잠을 깨고 본격적인 활동을 하기 전 생존과 생장에 필요한 활동입니다. 즉 포도나무 어린 뿌리에 근압이 생기고, 이 압력에 의해 토양 내 수분을 흡수하여 지상부로 물을 끌어올리는 활동입니다. 포도 인편이 벌어지면서 눈을 틔울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올 한 해도 스마트팜 센서 데이터 수집과 데이터를..
2023. 7. 25. 일자로 " 스마트 농업 육성을 위한 법적 근거 " 가 마련되었습니다. 약칭 스마트농업법이라고 불리는 「스마트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로 이 법률이 제정된 목적은 농업과 첨단 정보통신기술 등의 융합을 통하여 농업의 자동화 · 정밀화 · 무인화 등을 촉진함으로써 농업인의 소득 증대와 농업 · 농촌의 성장 ·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이 법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스마트농업 확산과 발전을 위해 5년마다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하고, 광역지방자치단체장 또는 도지사 · 시장 역시 지역 여건에 맞는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합니다. 그 기본계획에는 아래의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여야 합니다. 1. 스마트농업의 육성 목표 및 기본 방향 2. 스마트농업의 기반 조성에 ..

샤인머스켓 포도를 재배하고 있는 화성시 과수 스마트팜 농장을 다녀왔습니다. 이 농장은 토양센서를 활용하여 토양수분함량에 따라 자동스케줄에 의해 관수를 하고 있는 농장입니다. 스마트팜 활용을 잘하시는 지를 보려 과수원을 한 번 둘러보기로 했습니다. 샤인머스켓 포도나무 아래 토양에는 물이 골고루 스며들게 관수호스를 3줄을 깔아놓았고, 그리고 포도 전정가지를 파쇄하여 토양에 다시 환원시켜 토양 내 수분을 유지시켜 주고 계시네요. 또 바닥비닐 멀칭을 전체적으로 하지 않고 나무 아래에서 60cm 정도 떨어지게 비닐을 벗겨 놓아 토양온도 관리와 일정한 증발산량을 유지시켜 광합성을 촉진시켜 주고 있네요. 그리고 장마철의 토양이 과습 하지 않게 관리하고 계시죠. 바닥에 펼쳐 놓은 거친 유기물(파쇄한 전정가지)이 잘 부..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