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공심채 (2)
IPM을 꿈꾸는 사람들

요즘 날씨가 북극한파로 연일 추워지면서 집안 난방도 걱정이지만 겨울철 난방으로 작물을 재배하고 있는 시설하우스도 보온에 신경을 쓰시는라 연일 고생이십니다. 작물이 자랄 수 있는 온도를 확보하기 위해 보온에 신경쓰다보니, 2중, 3중으로 비닐피복, 보온커튼, 알루미늄 스크린을 활용하고 계속 오르는 기름보일러나 지열을 활용하여 온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온을 하려면, 환기를 잘 시키지 않게 되고, 낮은 온도에서는 반대로 상대습도가 높아져서 저온성 곰팡이 병원균이나 세균병이 잘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특히, 잿빛곰팡이병은 저온다습한 시설하우스에서 발병이 잘 되며, 한 번 발생하면 수많은 포자를 생산하여 병이 빠르게 진전됩니다. 잿빛곰팡이병에 등록된 약제는 많으나 일부 균주에서 약제 저항성..

화성시는 원래 바다였던 곳을 막아서 벼를 재배하는 논으로 탈바꿈한 간척지 토양이 많습니다. 이 땅에서 벼를 재배하기 보단 소득이 높은 아열대 채소인 공심채를 재배하고 있는 시설하우스로 현장컨설팅을 다녀왔습니다. 공심채를 재배한 지는 5년이 되가는데, 그동안 토양 표토에는 모세관 현상으로 염류가 하얗게 집적되어 있습니다. 표토에서 15cm 깊이의 흙을 10곳을 채취하여 토양 화학성과 염분를 분석 하였습니다. 토양산도는 pH 7.6, 전기전도도는 32.1 dS/m, 염분농도는 0.994%로 분석되었습니다. 간척지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벼의 한계염분농도인 0.1%를 훨씬 넘어선 농도입니다. 넓은 면적의 시설하우스를 볼 때, 경제성을 고려 하여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맨 처음 할 일은 사용하고 있는 지하수를 사용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