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lletotrichum속 (2)
IPM을 꿈꾸는 사람들
아스파라거스 수확이 끝나고 줄기가 마르면서 줄기에 까만 곰팡이가 피어났어요. 아스파라거스 줄기 위에는 적갈색을 띤 장타원형의 병반이 생깁니다. 점차 함몰된 병반의 중앙은 검은색으로 변하고, 분생포자층에 분생포자가 형성됩니다. 병반을 떼어 PDA와 WA에 치상해 봅니다. 탄저병의 분생포자층이 형성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어요. 균총을 조금 떼어 광학현미경으로 살펴보면 아스파라거스 탄저병(Colletotrichum sp.)의 포자가 관찰됩니다. 아스파라거스는 백합과의 아스파라가스속으로 다년생식물로서 노지재배에서는 정식후 2 ~ 3년째부터 수확을 시작합니다. 아스파라거스 포기는 10월 부터 12월에 걸쳐 휴면에 돌입하므로 이때 아스파라거스 줄기는 제거하여 소각해 주세요. 완숙퇴비를 매년 살포하여 토양 중의 유기..
서양채소인 아스파라거스가 외식산업의 발달로 우리나라 식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데요. 그래서인지 요즘 재배농가가 많아지고 있어요. 아직 재배기술이 보편화되지 않아 시행착오를 겪으시는 농가분이 계신 듯합니다. 그리고 아스파라거스병에 대해 연구가 많이 되지 않아서 병이 발생하여도 무슨 병인지? 방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시는 것 같아요. IPM연구회 회원님이 몇 해 전부터 아스파라거스를 기르고 계신다고 하네요. 아스파라거스 모종을 사다 심었는데 재배기술은 미처 습득을 못하여 관리가 엉망입니다. 아스파라거스에 대해 한참 흥미를 붙이고 있던 제가 하우스에 잠깐 들러서 병든 시료를 채취해 오기로 합니다. 아스파라거스 줄기에 생긴 적갈색 병반이 무척 궁금해지는데요. PDA, WA에 배양해서 길러 봅니다. 적갈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