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M을 꿈꾸는 사람들
2025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본문
2025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1) 대외 여건과 거시경제 전망
○ 2025년 세계 경제성장률은 미국의 정책 방향 전환과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불확실성 및 통상마찰 확대 가능성으로 인해 전년 대비 0.2% p 감소한 2.5%로 전망됨. 2024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반도체 생산과 수출이 높은 수준을 지속하였으며, 관련 설비투자도 증가세를 이어가나 건설업의 부진이 지속되면서 경기회복이 제약되어 2.1 ~ 2.2%로 추정됨.
○ 2025년 한국 경제성장률은 고물가·고금리 영향이 희석되어 소비를 중심으로 성장세를 나타내나 미국 통상정책 전환, 주력업종 경쟁 심화 등의 세계경제 불확실성으로 성장폭이 제한됨에 따라 1.8 ~ 1.9%로 전망됨.
- 2025년 국제유가는 원유 생산 증가세가 원요 수요 증가세를 상회하여 전년 대비 9.7% 하락할 것으로 전망
- 2025년 원/달러 환율은 달러화의 흐름 반영, 미국 고용 호조, 트럼프 트레이드 등의 영향으로 달러 강세가 예상되어 전년 대비 2.1% 상승할 것으로 전망. 다만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환율의 변동성은 확대될 가능성이 있음.
2) 한국 농업 동향과 전망
○ 2024년 농업생산액은 전년 대비 1.4% 증가한 60.1조 원으로 추정됨.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3.3% 증가한 36.2조 원, 축산업은 1.5% 감소한 23.9조 원으로 추정됨. 2025년 농업생산액은 전년 대비 0.1% 증가한 60.1조 원으로 전망됨.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나 평년 대비 11.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축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0.7%, 평년 대비 4.2% 증가한 24.0조 원으로 전망됨.
○ 2025년 농식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0.6% 증가하고, 수입액은 7.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무역수지 적자는 전년 대비 10.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할당관세 및 사료용 곡물 수입의 기저효과, 내수 소비 회복 등으로 농식품 수입량이 증가하고, 농식품 수출액은 수출업체의 판로 확보 노력과 정부의 수출 확대 지원 및 서구권 수출시장의 확대, K-Food 인기 등의 영향으로 증가할 전망
○ 2025년 경지면적은 전년 대비 0.2% 줄어든 150.0만 ha로 전망됨. 2025년 농가 호당 경지면적은 전년과 비슷한 1.53ha이고, 농가인구 1인당 경지면적은 74.9a로 전년 대비 1.9% 증가할 전망임. 2025년 재배면적은 식량작물, 채소, 과수 재배면적이 감소하여 전년 대비 0.5% 감소한 158.5ha로 전망됨.
3) 농가 경제 동향과 전망
○ 2025년 농가소득은 전년 대비 2.6% 증가하여 54.3백만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농업소득은 전년 대비 2.7% 증가한 13.1백만 원으로 전망됨. 이전소득은 전년 대비 3.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농외소득과 비경상소득은 전년 대비 각각 2.3%, 2.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5년 농가인구는 전년 대비 2.1% 감소한 200.2만 명, 농가호수는 0.3% 감소한 98.0만 호가 될 것으로 전망됨. 65세 이상 농가 인구 비율은 소폭 증가세로 전년 대비 0.1% p 증가한 52.9%로 전망되며, 농림어업취업자수는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사업 등으로 감소폭이 완화되어 전년 대비 0.3% 감소한 149.4만 명이 될 전망임.
'농업경영컨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 과일 수급 동향과 전망 (0) | 2025.02.02 |
---|---|
(사과) 과일 수급 동향과 전망 (0) | 2025.02.02 |
유럽종 GA처리 (0) | 2024.08.07 |
탐스러운 포도원 견학기 (0) | 2024.08.01 |
농업 경영컨설팅 설계 - 해법 (0) | 2022.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