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M을 꿈꾸는 사람들
마그네슘 결핍을 보이는 토양조건 및 예방 대책 본문
앞선 논문 리뷰에 이어 마그네슘 결핍을 보이는 토양 조건과 그 예방 대책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포도 품종별로 3개 지역에서 황화현상이 나타난 포도원과 건전한 포도원의 토양이화학성을 조사하여 비교한 결과는 Table. 3과 같습니다.

즉, 황화현상이 발생한 과원과 건전한 생육을 보인 포도원에서 유기물과 총 질소 함량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흔히 아는 질소의 결핍에 의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실험데이터 입니다.
하지만 황화현상이 발생한 포도원의 토양 pH는 건전한 포도원에 비해 훨씬 낮았으며, 교환성 K와 Ca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며, Mg함량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낮은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포도나무 생육에 적합한 토양 중의 교환성 Mg 함량은 1.5-2.0 cmolc/kg 으로 알려져 있는데, 황화현상이 발생한 포도원의 교환성 Mg 함량은 적정 함량에 미달하였습니다.
이는 토양 pH가 낮아 Mg을 포함한 교환성 염기 함량이 낮은 결과이거나 노후화된 토양에서 보이는 교환성 양이온들의 용탈로 뿌리생육이 왕성한 표층토양보다는 심층토양에 더 많이 존재하고 있거나 토양 pH 5.5 보다 낮거나 교환성 K와 NH4 함량이 높은 토양에서는 Mg의 흡수가 저해되어 결핍이 유발됩니다.
그러므로 위의 Table 3은 황화현상이 심하게 발생하는 포도원은 교환성 Mg함량이 낮고, 건전 포도원 토양에 비해 교환성 Mg/K 비율이 낮았기 때문에 황화현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됩니다.
황화현상이 발생된 포도나무의 Mg결핍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황화현상이 나타난 잎과 건전한 녹색 잎의 잎자루를 이용하여 무기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습니다.

질소함량은 대체로 황화현상이 나타난 잎에 비해 건전 잎의 잎자루에서 높았는데, 건전 잎과 황화 잎 모두에서 적정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포도나무의 황화현상은 질소 결핍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 아님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K와 Ca 함량은 황화현상이 나타난 잎과 건전 잎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황화 현상이 나타난 잎에서 채취한 잎 자루 중의 Mg 함량은 건전한 녹색 잎의 잎자루에 비해 통계적인 유의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는 건전한 잎의 잎자루에서는 적정 수준의 Mg 함량을 보였으나 황화현상이 나타난 잎에서는 Mg 함량이 조사된 4 품종 모두에서 적정 수준 이하를 나타내었습니다.
또한 포도나무 잎자루 중의 Mg 함량이 0.14% 이하이면 결핍증상이 나타나며, 포도 개화기 때 Mg 결핍을 추정하기 위해 잎자루를 분석하여 잎자루의 K/Mg의 비율이 5:1을 초과할 때 이후 Mg 결핍이 나타난다고 하였습니다.
황화현상이 발생하는 초기에 포도나무에 Mg염을 토양에 관주처리하거나 엽면시비한 후 잎자루의 Mg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5와 같습니다.

Mg염을 처리한 포도나무 잎자루의 Mg 함량은 무처리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고, 적정하한인 0.26% 이상이었습니다.
MgSO4와 MgNO3에 인산을 혼용하여 엽면시비한 처리에서 잎자루의 Mg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양관주와 엽면시비에 모두 MgSO4와 MgNO3 처리 사이에는 잎자루의 Mg 함량 차이는 없었습니다.
결과적으로 무처리에 비하여 Mg염 처리구에서 K/Mg 비가 크게 낮아져 적정 비율이 5에 근접하였으며, 인산과 함께 처리하였을 때 Mg 흡수가 일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유의성 있는 결과는 아니었습니다.
Mg염을 처리하는 시기는
가급적 Mg 결핍증상이 발생하기 전이나 발생초기에 지속적으로 엽면살포나 토양관주를 통하여 부족한 Mg을 보충함으로써 수확기 포도 과실의 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포도 과수원 토양에서 Mg 유효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토양대책으로는
Mg 결핍을 예방하고 교정하는 방법으로 만성적인 Mg 결핍이 발생하는 경우 황산마그네슘 비료를 주기적으로 토양에 처리하여 적정 수준의 유효 Mg 수준으로 유지시키도록 관리하고, 생육기에 Mg 결핍이 나타날 때는 엽면시비나 관주를 통하여 신속하게 Mg 을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 참고 및 인용 -
마그네슘 결핍이 포도나무의 황화현상 발생과 포도 품질에 미치는 영향, 2009,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ol. 28, No. 4, pp. 347-355, 장태현
'과수 현장컨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랑포도 열매에 이슬 (0) | 2025.06.21 |
---|---|
샤인 열매에 까만 점이? (9) | 2025.06.19 |
포도나무의 황화 현상 원인, 마그네슘 결핍 (0) | 2025.06.17 |
'캠벨얼리' 포도의 지경솎기에 따른 작업 절감 효과 (2) | 2025.06.14 |
고품질 키위 생산을 위한 알솎기 (0) | 2025.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