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M을 꿈꾸는 사람들
제4편 식물병의 분류 본문
이번 시간에는
식물병의 분류에 대해 배워 보도록 하겠습니다.
식물병은 크게
1) 나타내는 병징에 따라 : 뿌리썩음병, 시들음병, 점무늬병, 녹병
2) 식물체의 감염부위에 따라 : 뿌리병, 줄기병, 잎병 등
3) 병에 걸리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 화곡류병, 채소병, 잔디병 등
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식물병을 분류하는 가장 유용한 방법은
그 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분류의 장점은
병의 원인을 알려주며,
그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병의 진전과 전염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알수 있고,
더 나아가 가능한 방제법까지도 알 수 있다는 점입니다.
1) 전염성병(생물적 원인)
① 균류에 의한 병
② 원핵생물(세균과 몰리큐트)에 의한 병
③ 기생식물과 녹조에 의한 병
④ 바이러스와 바이로이드에 의한 병
⑤ 선충에 의한 병
⑥ 원생동물에 의한 병
⑦ 고등동물에 의한 병
전염되어 병을 일으킬 수 있는 생물인 병원미생물을
병원체라고 하고,
보통 효소, 독소, 생장조절물질, 그리고 기타 물질들을
세포로 분비하거나
자기들이 사용하기 위하여
기주세포로부터 영양물질을 흡수함으로써
식물세포의 대사를 교란하여 병을 일으킵니다.
2) 비전염성병(비생물적 원인)
① 너무 낮거나 높은 온도에 의한 병
② 너무 많거나 적은 토양수분에 의한 병
③ 너무 세거나 약한 빛에 의한 병
④ 너무 많거나 적은 토양양분에 의한 병
⑤ 대기오염에 의한 병
⑥ 산소부족에 의한 병
⑦ 무기성분의 독성에 의한 병
⑧ 토양산도에 의한 병
⑨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의 독성에 의한 병
⑩ 부적당한 경종법에 의한 병
온도, 토양수분, 빛, 습도,
무기양분, 오염물질 등 환경요인 뿐만아니라
농약살포, 재배방법, 관리 등 농장주의 행위에서 비롯된
비생물적 요인들이
우리가 재배로 목적으로 하는 작물과 맞지 않아
식물이 견딜 수 있는 특정 범위보다
더 높아지거나 낮아졌을 때 식물에 병을 일으키게 됩니다.
- 참고문헌 -
식물병리학(PLANT PATHOLOGY) 제5판,
George N. Agrios 저
'식물 병해충의 이해와 IPM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추 노지 조숙재배시 농가에서 사용하는 비료기준 시용량 및 시기 (0) | 2017.04.24 |
---|---|
고추가 필요로 하는 다량원소와 기능 (5) | 2017.04.24 |
제3편 식물의 기본적 기능과 식물병이 방해하는 기능 (0) | 2017.03.11 |
제2편 식물의 유전적 잠재력 ?? (0) | 2017.03.11 |
제1편 식물병이란 (0) | 2017.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