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M을 꿈꾸는 사람들

샤인머스켓 재배기술-최적엽면적지수 본문

과수 현장컨설팅

샤인머스켓 재배기술-최적엽면적지수

오늘을 살아 2024. 5. 11. 20:39

2차 지베렐린 처리 후 알솎기를 끝낸 샤인머스켓 포도가 비대해지고 있습니다.

샤인의 비대기에는 잎에서 충분한 햇빛을 받아 광합성을 활발히 하여 양분을 많이 만들어 과실로 공급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샤인머스켓 결과지 당 잎수는 14 ~ 16매 까지 확보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잎이 2매 정도는 겹쳐도 그 사이로 빛이 들어가면 괜찮지만 3매까지 겹치면 안 됩니다. 따라서 잎이 지나치게 겹치지 않도록 결과지 간격을 넓혀 주어야 합니다.

 

 

 

 

포도의 최적엽면적지수는 2 정도로 잎이 너무 무성하면 위쪽 잎은 광합성을 하여 양분을 축적하게 하지만 그늘에 가린 아랫잎은 광합성을 제대로 못 하므로 3매가 겹치는 맨 아랫잎은 광합성량이 부족하게 되고, 위쪽 잎들이 만들어 놓은 탄수화물을 소모하는 잎이 되어 포도 알맹이의 당 축적이 나빠지고, 오히려 착색을 방해하게 됩니다. 또한 방제를 할 때 약제가 골고루 묻는 것을 방해하므로 병해 발생이 많아지고, 응애 등 해충의 피해도 커지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잎수가 너무 적어 최적엽면적 지수 이하로 떨어지면

잎은 나이가 들수록 광합성 능력이 줄어들게 되고 병해충에 의한 잎의 손상으로 수체의 광합성량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품질을 높이기 위해 지나치게 잎을 줄이는 것도 바람직한 재배관리 방법은 아닙니다.

 

 



 

바닥에 떨어지는 햇볕의 양을 살펴보면 내 포장에 도달하는 광합성률을 어림잡아 볼 수 있습니다.

 

 

 

 

최적엽면지수는 재배기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가능한 한 2를 넘지 않도록 하며, 

 

 

 

 

결과지 당 잎수는 잎의 크기, 잎의 특성(단위면적 당 엽록소량) 과실의 개수, 과실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자료 출처 -

명품 화성송산포도 만들기 "포도재배 핵심기술 " , 2023, 화성시농업기술센터 발행, 장한익, 고영미 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