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식물 병해충의 이해와 IPM활용 (103)
IPM을 꿈꾸는 사람들
농산물 안전성 조사 결과, 부적합 발생 주요 농약 성분 2021년 농산물 안전성 조사 결과, 농산물에 잔류되어 부적합 검출 빈도가 높은 농약 성분 상위 17개를 안내해 드립니다. 본 자료는 2022. 3. 30. 기준 국내 농약 등록 현황(출처: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을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농약은 상표명이 수시 변경되거나 성분은 다르나 같은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경우가 있으니, 구입 및 살포 전에 사용 가능 작물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농약 유효성분명 상표명 사용금지 작물 주의사항 1. 다이아지논 (Diazinon: 살충제) (단제) 다이아톤, 다이진, 다지논, 델타포스, 비틀킹 (합제) 대풍, 뚝심, 선풍, 심토층, 인서트, 크레타 등 들깻잎, 상추, 셀러리, 알타리무, 열무, 쪽파, 참나..
해충을 방제하는 데 사용되는 약제인 살충제는 사용목적에 따라 경엽처리제, 토양처리제로 나뉘며, 작용 특성에 따라 식독제, 접촉독제, 침투성살충제로 분류됩니다. 사용목적에 따른 경엽처리제는 작물의 생육기에 줄기, 잎, 뿌리, 과실 등을 가해하는 해충을 방제하는 데 사용되며, 대부분의 살충제가 이 그룹에 속합니다. 토양처리제는 토양 중의 해충을 방제하고자 토양에 처리되는 약제로 전작물용 입제, 살선충제가 이 그룹에 속합니다. 작용특성에 따른 식독제는 소화중독제라고 하며, 식물체 표면에 약제성분을 부착시켜 해충이 먹이와 함께 먹게 되면 소화기관 내로 들어가 독작용을 일으키게 됩니다. 1) 유기인계: 다이아지논, 아세페이트, 펜티온 등 2) 카바메이트계: 메티오카브, 티오디카브 등 3) 비티(Bt)계: 비티아이..
살균제는 식물병의 원인이 되는 병원균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로 사용목적에 따라 종자소독제, 경엽처리제, 저장병 방제제, 토양소독제로 나눌 수 있으며, 작용 특성에 따라 보호살균제와 직접살균제로 크게 나눠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사용목적에 따른 종자소독제는 작물 종자, 종묘의 표피 및 내부에 감염된 병원균을 살멸시키는 데 사용되며, 베노밀, 티람, 플루디옥소닐 등이 있습니다. 경엽처리제는 작물의 생육기에 줄기, 잎, 뿌리, 과실 등에 감염된 병원균을 살멸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대부분의 살균제가 이 그룹에 속하게 됩니다. 저장병 방제제는 수확한 작물이 저장 중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티아벤다졸 등이 있습니다. 토양소독제는 토양 중의 병원성 병원균을 살멸하기 위..
농약에 대한 여러 가지 찬반 의견이 분분함에도 불구하고, 농업현장에서는 농산물의 수량 증대와 품질 향상에 필요한 농업자재로서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농약은 자재로서 품질이 좋고 나쁨에 따라 농산물의 수량과 품질에 크게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아래의 다섯 가지 조건을 갖추어야만 품목으로 등록이 될 수 있습니다. 첫째, 소량으로도 약효가 확실해야 합니다. 약효가 없다 든가 효과가 불확실하게 되면 농약으로서의 가치가 없게 됩니다. 최근 방제대상인 생물체만 죽이는 고도의 선택성이 높은 약제들과 환경오염을 덜 유발하는 약제들이 개발되고 있어 기존의 사용량보다 살포량을 적게 하여도 방제 효과가 우수하며, 천적 등 유용 생물에게는 영향을 덜 미치는 약제를 개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둘째, 인축과 생태계에게는 안..
농약이란 무엇일까요? 농약을 관리하고 있는 「 농약관리법 」에서 정한 약제 범위는 농작물을 해치는 균, 곤충, 응애, 선충, 바이러스, 잡초 그 밖에 농림축산식품부령이 정하는 동식물(달팽이, 조류, 야생동물, 이끼류, 잡목)의 방제하는 데에 사용하는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를 말하며,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증진하거나 억제하는 사용되는 약제(생장조정제), 기피제, 유인제, 전착제, 천연식물보호제를 말합니다. 여기서 천연식물보호제는 진균, 세균, 바이러스 또는 원생동물 등 살아있는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농약 또는 자연계에서 생성된 유기화합물 또는 무기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제조한 농약을 말합니다. 이 외에도 약제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착제와 농약의 제제화(제형)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
화성 로컬푸드 인증심사를 하는 식물체 잔류농약 분석 중 엽채류인 상추와 갯기름나물(방풍)에서 포레이트(phorete) 성분이 검출되었습니다. 검출성분명 검출치 (mg/kg) 허용기준 (mg/kg) 적용기준 판정 포레이트 (phorate) 0.022 0.01 일률기준 부적합 포레이트 (phorate) 0.034 0.01 일률기준 부적합 상추와 갯기름나물에는 포레이트 농약성분이 등록되어 있지 않아 일률기준인 0.01ppm으로 적용됩니다. 포레이트 입제는 유효성분인 phorate 5%와 보조제와 증량제가 95%가 들어있는 유기인계 계통의 침투성이 강한 토양살충제 입니다. 입제는 물에 희석해서 뿌리는 희석살포제가 아니다 보니, 같은 면적 내에 뿌려주는 면에서 희석살포제 보다 고농도로 살포되니, 꼬옥 정량을 지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