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M을 꿈꾸는 사람들
마늘 잎마름병원균 완전세대 본문
IPM 실험실로
마늘이 들어왔어요.
어린 마늘이 자라지 않는다고 해요.

마늘 종구가 물러 있어요.

실체현미경에서
마늘을 찬찬히 관찰해 봅니다.
마늘의 뿌리에
까맣게 박혀 있는 점들이 보입니다.

검은 점을 떼어 내어
플레파라트를 만들어 관찰해 봅니다.
까맣게 보이는 것은
마늘 잎마름병 병원균의
완전세대인 Pleospora herbarum의 자낭각입니다.
편구형 모양의 자낭각 속에는
자루모양의 자낭이 있는데
자낭 안에는 8개의 자낭포자가 들어 있어요.
자낭 안에
꼬~옥 뽕나무 열매인 오디처럼 생긴
자낭포자가 빼곡히 들어 있지요.
자낭에서 탈출한
자낭포자 사진입니다.
담갈색의 타원형이며,
종격막과 횡격막이 있어
오디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병든 조직을 떼어
PDA 배지에 길러 봅니다.
배지에서 자라난 균총을
조금 떼어 플레파라트를 만들어
현미경으로 관찰해 보아요.
마늘 잎마름병원균의
불완전 세대인 Stemphylium vesicarium의
분생포자 사진입니다.
마늘 잎마름병원균은
위의 사진과 같이
완전 세대와 불완전 세대가 공존을 합니다.
병원균은
병든 부위에서
균사, 분생포자, 자낭각의 형태로 월동을 합니다.
위의 시료 마늘은
종구 전염이 된 것으로 보이는데,
마늘을 가져오신 농가분은
벤레이트로 종구 소독을 하셨다고
하셨지만
제대로 된 종구 소독이 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마늘 잎마름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전한 종구를 선별하여
종구소독 후 심어야 합니다.
소독방법은
파종 하루 전날
씨마늘을 양파자루에 담고
베노밀티람수화제 500배액과
디메토에이트유제 1000배액(뿌리응애 방제)을 혼합하여
물에 푹 담가 1시간 침지 후
그늘에 말린 후 파종합니다.
이때 소독액의 온도는
10 ~ 30도를 유지시켜 주어야 합니다.
'곰팡이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딸기 시들음병은 왜 짝재기병이라고 부릴까? (0) | 2018.04.17 |
---|---|
시료량에 따른 엄청난 차이 (0) | 2018.04.17 |
딸기 대표 병원균 해부학적 진단 (0) | 2018.03.22 |
친환경 재배에서 딸기 잿빛곰팡이병 방제 (0) | 2018.03.19 |
얼갈이배추 노균병 (0) | 2018.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