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M을 꿈꾸는 사람들

아이비 줄기썩음병 본문

곰팡이병

아이비 줄기썩음병

오늘을 살아 2018. 7. 27. 18:53

  더운 여름철

아이비가 죽어간다고

진단 의뢰가 들어옵니다. 

 

 

 

 

 

 

' 여름철이라

물을 많이 주어서

과습 해서 죽은 게 아닐까!' 하고

농가분은 생각을 하셨다고 합니다.

 

그래도

그동안 저희 IPM실험실에 방문해서

진단을 받아오신 터라

아이비를 가지고 방문해 주셨습니다.

 

 

 

 

말라서 죽어가는 기주를 뽑아서 보니,

뿌리와 땅가줄기부분이

썩어가고 있습니다.

 

 

 

 

병이

아래에서 위로

진행되어 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흐르는 물에 씻어서

병징을 관찰해 봅니다.

 

잔뿌리가 거의 없고

일부 남아 있는 뿌리도

 썩어 들어가고 있습니다.

 

 

 

 

병든 부위를 WA와 PDA배지에

치상 하여 길러 봅니다.

 

 

 

 

뭉게뭉게

하얀 역병 균사가 자라나옵니다.

 

균사를 소독한 메스로 잘라

증류수에 띄워놓고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해 보아요~

 

 

 

 

유두돌기를 가진 역병 포자낭과

포자낭에서 방출되고 있는

유주포자를 관찰할 수 있어요.

 

포자낭에서

어마 무시한 양의

유주포자들이 방출되어

유영을 하고 있습니다.

 

 

 

 

이제

의뢰해 주신

농가분이 궁금해하셨던

한 가지 의문점을 풀어보겠습니다.

 

줄기 끝부분에서

말라 들어가는 병징과

 

 

 

 

잎자루에서 엽맥 방향으로

병이 진행되는 것에 대해

 무슨 병인지 궁금해 하셨는데요.

 

 

 

 

이들 병징을 배양해 보면

 

뿌리와 지제부에서 배양된

똑같은 역병 균사가 자라나옵니다.

 

 

 

 

 

 

 

 

 

종합해 보면,

아이비의 줄기를 고사시킨 병원균은

아이비 줄기썩음병원균인

Phytophthora sp.로 진단됩니다.

 

Phytophthora에 의한

아이비 줄기썩음병은

보통 역병균이

15 ~ 23도의 저온 지역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에 반하여

 

25 ~ 30도의 고온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  참 고 -

< Phytophthora cinnamoni에 의한 아이비 줄기썩음병 >

김형무 등, 2007, Res. Plant Dis. 13(3): 207-210

 

아이비 줄기썩음병은

지상부의 줄기와 잎,

지하부의 뿌리에서 발생하며,

 

줄기와 잎이 맞닿는 부위에서

검게 물들어가며

전체로 확대됩니다.

 

지상부의 줄기부터 시작된 썩음 증상은

점차 위쪽 줄기로 확산되며

병이 진전됨에 따라

줄기와 잎이 탈색이 되고

말라죽게 됩니다.

 

이후

지하부의 잔뿌리는

썩어서 거의 흔적이 남지 않게 됩니다.

 

역병균에 의한 토양병은

감수성 식물체가 존재하고,

토양이 과습한 조건에서

많이 발생됩니다.

 

따라서

병든 식물체는

포트의 흙과 함께 제거하여 소각해 주시고,

토양이 과습 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아이비 줄기썩음병의 방제약제로는

 

-  참 고 -

< 아이비 줄기썩음병에 대한 화학적, 생물학적 방제 >

정선근 등, 2013, 전북대학교 농생물학(식물병리학) 석사논문

 

metalaxyl+Copper Oxychloride(Cu) WP가

우수하다고 보고되었으며,

 

mandipropamid SC는

CAA(carboxylic acid amide)계 살균제로

인지질의 생합성을 저해하고,

난균문의 세포벽의 증착을 방해하며

8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다고 합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역병 방제 약제로 많이 사용하는

metalaxyl은

우리나라의 일부 지역에서 저항성 균이 출현하다고

 보고되어 있어

동일한 작용기작을 가진 방제약제의

연용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역병 저항성균 출현을 최소화하기 위해

혼합제 또는

작용기작이 서로 다른 약제를

교호 살포해 주세요.

 

 

 

 

 

 

 

 

'곰팡이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철 참깨 흰가루병 발생  (0) 2018.09.28
호박의 Choanephora 무름병  (0) 2018.07.30
오이밭이 노랗게 단풍이 드는 이유  (0) 2018.07.20
수박 덩굴마름병  (0) 2018.07.20
I love 수박  (0) 2018.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