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M을 꿈꾸는 사람들
오이 차먼지응애 피해 본문
오이 시설재배하우스 농가에서
오이에서 바이러스가 의심된다고
연락이 왔습니다.
가서 살펴보니
바이러스 증상과 유사하여
잘못 진단되는
차먼지응애 피해로 밝혀졌습니다.
새순의 황화증상과 오글거림은
바이러스 증상으로
잘못 진단될 수 있습니다.
차먼지응애의
어린 꽃과 막 전개된 잎에서
흡즙으로
엽록소가 파괴되어
황화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결국 어린 꽃과 과실은 고사되고
흡즙된 부위의 잎은 갈변됩니다.
잎이 광택이 나고
딱딱해지는
플라스틱병으로 알려진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차먼지응애의
약한 피해를 받은 과실도
자라면서
흡즙에 의한 상처과와
얼룩과로 상품성을 잃게 됩니다.
차먼지응애는
1985년 용인시의
아프리칸바이올렛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시클라멘, 거베라, 베고니아,
아이비 등의 화훼류와
고추, 감자, 가지, 수박,
오이, 참외, 멜론 등 채소류와
은행, 귤, 밤, 배 등 과수류를
가해하는 기주 범위가 넓은 해충입니다.
대부분의 기주식물에서
생장점 부근의 눈과
전개 직후의 어린 잎,
꽃과 어린 과실을 선호합니다.
오이, 수박, 참외, 멜론,
거베라, 베고니아 등에서는
어린 잎과 꽃에 피해가 많습니다.
주로 잎 뒷면에 기생하여
잎이 뒤쪽으로 말려 기형이 되고
피해받은 뒷면이 갈색으로 변하며
광택이 나고
코르크화 되어 건드리면
쉽게 부러지므로
일명 플라스틱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꽃이 필 무렵
꽃 속에 기생하여
꽃잎이 말리고 탈색되어
지저분한 기형의 꽃이 됩니다.
아이비에서는
집중적으로 순을 공격하여
전개된 잎이 오그라들며
심하면 잎이 정상적으로 펴지지 않고
줄기만 자라는 기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차먼지응애는
알, 유충, 정지기, 성충으로 나누며
알은 흰색으로
신초나 잎 뒷면, 잎자루 부위에
무질서하게 붙어 있습니다.
유충은
0.13mm 정도로 반투명한 유백색이고
다리는 세 쌍입니다.
정지기는
거의 움직이지 않고
크기는 0.23mm로 유충보다
훨씬 크고 몸 뒤쪽이 길게 돌출되어 있습니다.
정지기에서
한번 더 탈피하면
4쌍의 다리를 가진 성충이 됩니다.
암컷 성충은
0.23 ~ 0.26mm의
납작한 장타원형의 담갈색이며
수컷 성충은
0.17 ~ 0.21mm의 육각형 모양의 황갈색입니다.
차먼지응애의 엄청난 밀도
차먼지응애의 성충 사진
다습한 시설하우스 내에서는
2 ~ 5월 발생이 심하고,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발육기간도 짧아져
월 6세대 이상 경과할 수 있으나
발육 적온이 15 ~20도 보다
높아지면 사망률이 증가하고
산란율도 떨어지므로
25도 이상 고온이 되는
5월 이후에는
5월 이후 온도가 높아지고
환기를 자주 시키면
자연적으로 밀도가 감소합니다.
차먼지응애는
한 세대 기간이 짧아
일단 발생하면
피해가 급속히 진전되므로
포장 내로 유입을 막는 것이 최선책입니다.
먼저 재배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중간기주가 될 만한 식물과 잡초는
철저하게 제거합니다.
육묘기간 중에
발생하면
묘를 통해 전파되므로
묘상 관리도 철저히 합니다.
차먼지응애는
순 부위를 집중 가식 하므로
어린 순에 오글거림과
황화 증상이 나타나면
(바이러스 증상과 혼동될 수 있음)
초기 방제를 철저히 하여야 합니다.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서
비교적 방제가 잘 되므로
차먼지응애의 적용약제를
적정 배수로 희석하여
잎 뒷면과 신초 주변으로 골고루 살포하고
살아남는 개체 방제를 위해
작용기작이 다른 약제를 이용하여
5일 간격으로
2 ~ 3회 연속하여 살포합니다.
'해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추 차먼지응애 피해 (0) | 2017.05.28 |
---|---|
오이 진딧물 피해 (0) | 2017.05.28 |
마늘 토양해충의 향연 (0) | 2017.05.22 |
아욱의 황화 증상 (0) | 2017.04.04 |
마늘줄기선충의 종합적 병해충 관리 (0) | 2017.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