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7/01 (7)
IPM을 꿈꾸는 사람들

이슬애매미충은 약충과 성충이 잎 뒷면에서 흡즙 하여 엽록소를 파괴하여 잎 전체에 작은 바늘에 찔린 반점이 무수히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이슬애매미충이 대 발생 시에는 엽록소가 파괴되므로 광합성 능력이 저하됩니다. 이슬애매비충의 성충 몸길이는 약 3mm로 황록색을 띠고, 머리 좌우에 2개의 흑색얼룩무늬가 있습니다. 노지재배지에서는 연 3회, 시설재배지에서는 연4회 발생하고, 방제적기는 5월 하순 ~ 6월 중순까지 적용약제를 살포하고, 10월 초순부터 나무껍질 속과 시설하우스 내의 낙엽 속에서 월동을 하므로9월 하순경, 즉 월동 전에 추가 방제가 필요합니다. 이슬애매미충은 노란색 트랩에 유인이 잘 되므로 농장 중간중간에 트랩을 설치할 경우, 성충을 예찰하거나 성충의 밀도를 줄이는데 효과적입니..

식물은 크게 눈에 보이는 지상부와 눈에 보이지 않는 지하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지상부에는 줄기, 잎, 꽃, 열매기관이 있고, 지하부는 뿌리라는 거대한 기관이 있습니다. 뿌리는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 양과 크기, 뻗어나간 범위를 볼 수 없지만, 그래도 대략 짐작할 수 있는 것은 수세라고 하는 나무의 균형, 즉 자람세를 보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뿌리의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얘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식물이 자라기 위해서는 물과 양분, 햇빛이 필요합니다. 물은 토양에 공급하기 때문에 토양상태에 따라 물을 적게 주느냐, 많이 주느냐가 결정되는데요. 이를 토성이라고 합니다. 토성은 토양 속에 모래, 미사, 점토, 자갈 등의 함량을 이루어진 토양의 특징입니다. 물을 줄 땐 이러한 토성을 고..

6월 27일부로 폭염 재난 위기 경보 ' 주의 ' 단계가 발령되었고, 당분간 무더위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폭염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 발생 예방을 위한 관리 및 농업인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보호대책을 안내해 드립니다. 무더운 날씨가 건강과 농작물 피해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