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농업경영컨설팅 (20)
IPM을 꿈꾸는 사람들

SWOT 분석이란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기(Threat)의 앞글자를 따서 부르는 말입니다. 기업의 강점과 약점, 환경적 기회와 위기를 열거하여 효과적인 경영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분석 방법입니다. 그러면 농업 경영컨설팅 부문에서 SWOT 분석은 목적달성에 내부 환경이 긍정적이면 강점, 부정적이면 약점으로 평가하고, 목적 달성에 외부요인이 긍정적이면 기회, 부정적이면 위협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SWOT 분석이 완료되면 TOWS 분석으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TOWS분석은 SWOT 분석의 알파벳을 거꾸로 해놓은 것으로 스왓 분석과 가장 큰 연관성이 있습니다. 우선 스왓 분석이 제대로 진행되어야 정확한 TOWS 전략 분석이 수립될 ..

다음은 농업 경영 컨설팅에서 고객 감동 지도를 통해 알아본 진단을 가지고 제품에 대해 PPM 전략 실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PPM 전략이란 Product Portfolio Mangement의 약어로 다수의 제품을 생산하여 경영을 하고 있는 농장주(경영주)의 제품군(작목) 중 어떤 제품 중 어떤 것을 확대, 강화, 유지하고 또 어떠한 것을 축소하거나 철수해야 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전략으로 유용합니다. PPM은 전략적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기 위해 시장 점유율과 시장 성장률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항목인 별(Star)로 시장 점유율이 높고 계속 성장하는 제품으로 집중 투자하여야 합니다. 두 번째 항목인 문제아(Problem Child)로 시장 점유율이 높지만 자사의 점유율이 낮..

우리의 고객을 만나 대화의 물꼬를 트고 농장주와 만남을 가졌다면 이제는 제품이나 서비스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고객 공감 지도를 작성해 볼 차례입니다. 고객 감동 지도는 제품을 객관화하는 작업으로 고객의 입장에서 자사의 제품과 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위의 고객 감동 지도를 참조하여 실습 사례를 예시로 들어 보겠습니다. 저희 조의 컨설팅 가상농장은 요즘 핫~한 바나나와 망고 등 열대작물을 체험을 준비하고, 체험을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은 신규 체험 농장을 시뮬레이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한 마디로 요약하자면 가상의 시나리오입니다. 앞서 설명드렸듯이 우리 조가 컨설팅한 농가는 신도시 인근의 열대작물인 바나나와 망고를 재배하여 체험을 막 시작한 농가입니다. 체험 농장을 찾는 고객은 국내에서 열대작물이 재..

이제 농업 경영 컨설팅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았으니 이제는 실습을 통해 배워 보도록 하겠습니다. 농업 경영 컨설팅을 막상 하려고 하면 무엇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막막하기만 한데요. 우리가 만나야 할 농장주(경영인)를 만나서 인터뷰하는 과정을 실습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 경영 컨설팅 실습 사례로 제시된 예는 실제 제가 농업 경영 컨설팅을 교육을 배우면서 저희 조원들과 함께 만든 PPT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작성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자~ 우리의 고객인 가상의 농장주(경영인)분들을 만나려 가 보실까요? 우리의 고객을 만나면 처음으로 질문할 내용은 인지도 질문입니다. 즉 농장명, 제품, 명함, 홍보, 판매에 대해 전반적인 것에 대해 폭넓은 질문이 필요합니다. 두 번째는 구매 용이성에 관한 질문으로..

농업 경영컨설팅의 정의는 농업경영체(농업인)가 목적을 달성하도록 사람과 자원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게 돕는 활동을 말합니다. 경영 컨설팅의 과정은 현상을 분석하여 진단하여 과제를 수립하고, 환경 분석을 통해 해법을 도출하고 일정 계획을 수립하여 해법을 실행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컨설팅 수행 항목은 첫 번째, 농업 경영체 정보와 경영 현황을 파악하고, 경영목표를 설정하는 일입니다. 두 번째, 재무현황, 보유자원, 기술, 역량, 마케팅 등 문제점을 파악하여 진단결과를 도출합니다. 세 번째, PPM분석, SWOT 분석 등을 통해 환경을 분석하고 해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경영비 분석을 해 보겠습니다. 경영비 분석은 총 수익, 농업경영비, 농..

앞서 농업 문제 해결은 기대 상태와 현상태의 차이를 제거하는 일이라고 말씀드렸는데요. 그럼 문제 해결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문제해결은 기대 상태와 현상태의 차이가 나는 원인을 찾고, 큰 덩어리의 과제를 수립하며, 세세한 해법을 도출하여 실행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즉 문제를 정의하고 원인을 분석하고, 과제를 선정한 다음 해법을 도출하고 실행하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대하는 몸무게가 70kg인 사람이 현재는 100kg라고 과정해 보면 30kg(기대 상태와 현 상태의 차이) 만큼 차이가 나는 원인을 분석하였을 경우 첫 번째 많이 먹는다고 원인이 분석이 되면, 그 사람은 적게 먹는 것으로 과제를 선정하고 이제부터 밥그릇 크기를 1/2로 줄여서 적게 먹는 것으로 해법을 도출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