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고추 (52)
IPM을 꿈꾸는 사람들
고춧잎에서 TSWV가 나타나면 잎의 괴사반점과 링모양의 윤문이 나타나게 됩니다. 바야흐로 고추가 자라서 예쁜 과실이 열려야 하는데요. 고추가 이상합니다. 고추열매가 붉게 익어야 하는데 얼룩덜룩한 이상야릇한 색깔이 띱니다. 농가분들은 이러한 고추를 '고추 얼룩병' 이라고 부르시는데요. 정확한 병명은 총채벌레가 매개하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 입니다. 고춧잎에 이어서 이제는 고추 과실에서도 바이러스 증상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고추 과실을 따서 TSWV스트립 킷트로 진단을 해 보겠습니다. 고추 과실에서 진단선이 뚜렷하게 구분됩니다.
담배나방은 고추 과실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서 사는데요. 담배나방에 피해를 받은 고추는 세균에 의한 무름병에 걸려서 부패하거나 낙과합니다. 유충은 한 과실만 먹는 게 아니라 다 자랄 때까지 계속해서 다른 과실로 옮겨가면서 가해하므로 피해가 큽니다. 1마리의 유충은 평균 3 ~ 4개의 과실을 가해하며 10개의 고추 과실을 가해하기도 합니다. 담배나방에 의한 수확량은 심한 경우 20 ~ 30%까지 감소합니다. 고추 과실에 구멍을 뚫어 과실 속을 먹고 삽니다. 담배나방은 땅 속에서 번데기로 월동하다가 5월 하순~ 8월 중순에 걸쳐 우화 하며 연 2~ 3회 발생합니다. 기온 때문에 제1화기는 길고 발생도 불규칙하며, 제2화기는 더욱 불규칙해져서 8월 상순 ~ 10월 상순에 우화 하는데, 최성기는 8월 중순입니다...
고추 과실에서 발생한 고추 검은곰팡이병을 소개합니다. 감염부위는 약간 움푹 들어가고 원형 또는 부정형의 병반을 형성합니다. 병반의 가장자리는 담황색 또는 회백색으로 변하며 마릅니다. 병원균은 주로 종자 혹은 병든 부위에서 균사나 분생포자의 형태로 월동 후 공기전염 합니다. 이 병은 주로 노지 고추포장에서 발생하며, 여름철 가뭄이 계속되어 과실이 열상 또는 생리적 장애 등에 피해를 받았을 때 질소나 칼리 성분이 많아 길항작용에 의하여 칼슘 흡수가 적어 과실에 칼슘결핍 증상이 나타날 때 병원균이 2차적으로 침해하여 병을 일으킵니다. 고추를 정식 전에 토양시비 처방을 받아서 퇴비와 석회를 충분히 시용하고 토양에 수분이 부족하지 않게 관리하며, 여름철 건조가 계속될 때에는 석회포화액으로 주기적 관수를 합니다.
고온다습한 시기에 고추 하엽에서 발생하는 점무늬 증상과 황화 증상이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잎에서 처음 갈색의 작은 점무늬가 생기고, 점점 커지면서 암갈색의 원형 또는 부정형의 병반이 형성됩니다. 이 병원균은 고추 검은무늬병(Alternaria sp.) 입니다. PDA배지에서 배양한 결과입니다. 병원균은 종자 또는 병든 부위에서 균사나 분생포자 형태로 월동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을 하므로, 병든 고추잎은 황화 되어 낙엽이 지므로 떨어진 낙엽은 조기에 제거하여 소각합니다. 등록약제가 없으므로 고추 탄저병에 등록된 약제로 7 ~ 10일 간격으로 방제합니다.
오이에서 나타난 차먼지응애 피해에 이어서 고추에서 차먼지응애 피해를 살펴 보겠습니다. 초기에는 생장점 부위의 어린 잎에 주름이 생기고 잎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오그라들며 기형이 됩니다. 아래의 사진은 잎이 안쪽으로 말리면서 딱딱해진다. 시력이 아주 좋은 분들은 잎 뒷면에서 차먼지응애를 관찰할 수 있음(~ 농담) 잎 뒷면이 하얗게 묻어 있어 지저분하게 보입니다. 심하게 피해를 받게 되면 생장점 부근의 잎이 말라 떨어지고 계속해서 차먼지응애는 새순으로 이동하여 흡즙을 하게 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결국 생장점 부근은 칼루스(Callus)모양으로 뭉툭하게 되고 잎눈과 꽃눈이 정상적으로 자랄 수 없게 됩니다. 고추순의 기형과 callus 모양 어린 과실기에 차먼지응애가 가해하여 자란 후 딱정이같이 흉터가 생겼네..
오늘은 고추 잘록병에 대해 알아볼게요. 보통 잘록 증상은 어린 유묘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데요. 고추에서 잘록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Pythium ultimum과 Rhizoctonia solani가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Rhizoctonia solani의 균사 사진입니다. Rhizoctonia에 의한 잘록병은 유묘기 감염은 잘 쓰러지고 생육중기에는 감염된 식물체는 지제부가 잘록해지고, 지상부의 전체 시들음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고추 전신시들음 증상이나 지제부 갈변 증상 때문에 역병으로 잘못 진단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잘록병의 종합적 병해충 관리법은 건전한 토양에서 육묘를 해야 하며, 토양이 장기간 과습 하지 않도록 배수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또한 시설하우스나 재배 온상에서 지나치게 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