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딸기 (14)
IPM을 꿈꾸는 사람들
어제는 3월 21일 절기상 춘분인데 하루 종일 눈이 내렸어요. 아침에 자고 나니 저 멀리 흰 눈을 이고 있는 설산이 보입니다. 산수유가 노랗게 꽃망울을 터트렸는데 흰 눈이 오다니 날씨는 정말 종 잡을 수가 없어요. 그래도 하우스에서는 빨간 딸기가 익어가고 있어요. 정말 먹음직스럽죠~ 며칠 전 예쁘고 먹음직스러운 딸기밭에 병이 났다고 방문 요청을 받았어요. 주인장과 함께 하우스를 돌아보며 딸기의 생육상태도 확인하고 시료도 채취합니다. 예쁜 딸기를 물고 있는 주변의 딸기와는 달리 열매도 부실하고 전체 식물체 크기도 왜소합니다. 오래된 잎은 갈변되어 죽어가고 있고 새롭게 작은 순들이 자라나오고 있습니다. 채취한 시료는 대부분 생육이 왜소하고 잎이 갈변되어 시들어가면 뿌리가 갈변되었어요. 시료의 관부를 잘라서 ..
딸기를 친환경으로 재배하여 가족 대상으로 체험을 하는 농장에 다녀왔어요. 베드 위에 습한 곳에 회색으로 피여 있는 잿빛곰팡이가 보입니다. 회색 곰팡이가 핀 위쪽 줄기는 잿빛곰팡이가 분비한 효소에 의해 붕괴된 조직의 짓무름과 썩음 증상이 뚜렷하네요. PDA배지에 배양해 보면 어마 무시한~ 잿빛곰팡이의 자실체를 볼 수 있어요. 포도송이 모양으로 달려 있는 분생포자는 쉽게 떨어집니다. 그래서 습한 날씨에 쉽게 떨어져 기류를 따라 이동하여 발아한 후 침입을 할 수 있습니다. 친환경으로 딸기를 재배하는 것은 매우 힘이 듭니다. 잿빛곰팡이병 방제를 위해선 병든 딸기의 잔재물을 제거하고, 잿빛곰팡이병이 저온 다습한 환경을 좋아하기 때문에 식물체의 표면이 빨리 건조할 수 있도록 환기와 난방으로 습도를 낮추어 주어야 합..
' 올해처럼 추운 겨울이 있나 ' 생각이 될 만큼 맹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래도 온실 안의 딸기가 빨갛게 익어 가는 것을 보면 신기하기가 그지 없네요. 딸기농가에서 이상해 보이는 딸기를 뽑아서 추위에 놓아둔 시료가 진단 의뢰하러 실험실로 들어왔습니다. 실험실에 온 딸기는 얼음장처럼 꽁꽁 얼었는데요. 따뜻한 물로 녹여서 관찰해 봅니다. 얼어서 표피가 터진 것인지 아님 물러 썩은 것인지 아쉽게도 병징을 보고 판단이 서지 않네요. 물러 썩어가는 부위와 잎자루, 뿌리가 갈변된 부위, 잎자루가 붙어있던 부위, 관부를 따로따로 나누어서 배양해 봅니다. 병든 조직을 배양한 플레이트에서 잿빛곰팡이 균사가 자라나와 균총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배양한 병든 조직체 위에 잿빛으로 피어난 자실체를 떼어 현미경으로 관찰해 ..
마트에 가보면 벌써 딸기가 나와서 자기 좀 먹어보라고 빨갛게 유혹을 합니다. 여름에 정식해 놓은 딸기가 햐얗고 예쁜 꽃을 피우더니 이제 수확을 할 때가 되었나 봐요.~ 방문한 딸기 농가는 아직 딸기는 맺지 않았어요. 어쩐일인지 꽃이 피워야 할 꽃 송이들이 힘없이 축 처져 있습니다. 딸기 잎에 갈색의 점무늬가 생기고 힘없이 시들어 가고 있습니다. 힘없이 축 쳐져 있는 딸기를 뽑아서 실험실로 가져와 물로 씻어 관찰해 봅니다. 세로로 잘라서 관부(crown)을 관찰해 봅니다. 관부의 아래쪽이 적갈색 타원형 겹무늬로 변색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병징이 나타난 관부, 잎을 따로따로 PDA배지에 올려 놓고 배양해 봅니다. 몽실몽실한 회백색의 균사체가 PDA배지 플레파라트를 덮습니다. 뒷면을 관찰해 보면, ..
응애는 딸기잎 뒷면에 주둥이를 잎의 표피와 해면상 조직과 책상조직까지 찔러 넣어서 세포안의 내용물을 빨아 먹습니다. 따라서 피해를 받은 잎은 엽록소와 수분이 감소하게 되고, 잎 표면에는 응애가 찌른 바늘자국 모양의 흰 점이 생기게 됩니다. 점박이응애의 경우 빨아먹는 양이 시간당 자기체중의 약 25%나 된다고 하니 어마무시한 양이 되겠죠. 이러한 응애는 번식력도 좋습니다. 시설 내 온도가 25도 일때 알에서 부화하여 성충이 되기까지 약 10일 정도면 됩니다. 위의 사실을 근거로 농가분들은 응애의 무서움을 다들 잘 알고 계십니다. 그래서 일까요. 응애를 방제하기 위해 화학적 방제를 할 때 잘못된 처리로 약해가 발생하는 예가 있습니다. 응애의 약제 방제를 위해 살균제와 살충제와 미생물제를 혼합하여 살포하셨는데..
요즘은 딸기 손님이 "똑똑" 실험실 문을 두드립니다. 한눈에 보아도 딸기가 아파 보이는데요. 딸기 관부는 탄저병이 이미 와 있어요. 그런데 뿌리가 어떤 것은 까맣게 썩어 있고, 또 어떤 것은 갈색으로 변해가고 있어요. 뿌리 근처를 확대해 보겠습니다. 꿈틀꿈틀~ 속이 비치는 벌레가 보입니다. 머리는 까맣게 투구를 쓰고 가슴과 배부분은 반투명하여 속이 비치고, 몸은 12~13마디 정도입니다. 바로 작은뿌리파리 유충입니다. 작은뿌리파리의 이름에 걸맞게 암컷 성충은 1.1 ~ 2.4mm, 수컷 성충은 1.2 ~ 1.3mm 정도의 작은 파리류로 유충의 크기는 길이가 약 4mm, 폭이 0.2mm 정도입니다. 온실에서 성충은 4월 중순에서 밀도가 증가하고, 5월 하순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여름에는 개체수가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