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마늘 (14)
IPM을 꿈꾸는 사람들
봄이 찾아오고 비가 촉촉히 내리는 날이 많아 집니다. 겨울에 월동피복을 위해 덮어 놓았던 비닐을 걷어내고 1차 웃거름을 뿌리고 비맛을 보게 합니다. 그런데 IPM연구회 회원님이 마늘이 다 죽어간다고 마늘을 뽑아서 가져오셨어요. 마늘 잎이 말라있고 제대로 된 뿌리도 없네요. T.T 병든 조직을 떼어 PDA와 WA와 혹시 모를 세균병 검출을 위해 LB배지에도 도말해 봅니다. 배지에는 아무런 병원체도 자라나오지 않아요. 포장사진을 찍어서 보대달라고 다시 전화를 합니다. 바로 아래 사진이 찍어서 보내온 거예요. 포장 전체 마늘이 죽어 버렸습니다. 심은 마늘 품종이 대서마늘이라고 하네요. 대서마늘은 극조생종으로 파종기는 9월 중순경이며 수확기는 5월 중순경입니다. 월동 전에 잎이 자라 올라와 겨울 추위를 경과하여..
마늘을 수확해서 매달아 놓고 한~톨 한~톨 따다가 양념으로 쓰시는데요. 마늘을 까다보면 꼬옥 이런 애들이 있어요. 한 톨 혹은 그 옆에 있는 애들까지 썩어 있어요. 썩어있는 곳은 갈색을 띠고, 흰 균사체가 보여서 하얗게 예쁜 애들과는 확연히 구분이 됩니다. 마늘에 핀 하얀 균사를 떼다가 현미경에서 보면 Fusarium oxysporum의 대형포자와 소형포자를 볼 수 있습니다. PDA배지에서 길러보면 연분홍색의 균총을 볼 수 있어요. PDA배지에서 균사를 떼어서 현미경에서 살펴보면, Fusarium oxysporum 소형포자가 엄청 많습니다. 마늘 저장 중에 발생한 마른썩음병으로 진단됩니다. 마늘에서 발생한 마른썩음병은 전 생육기에 발생하지만 특히 저장 중에 많이 보입니다. 저도 마늘을 까다 보니, 한 두..
마늘이 쫑을 내밀며 올라오는 시절입니다. 그런데 마늘이 잘 자라지 않으면 너무나 속상합니다. 마늘 껍질을 벗기고 그 안을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마늘을 먹으려고 온 해충들이 많이 있습니다. 토양 속에 뿌리응애도 보이고 고자리파리 유충도 있습니다. 다 함께 모여 있네요. 휴~ 월동기 이후 마늘밭에 살포할 수 있는 토양 해충 약제는 없는데 한 걱정입니다. 앞으로는 마늘이 이 곳에서 재배하면 안 되겠지요.
월동기를 마치고 마늘 피복물을 벗겼을 때 마늘의 잎이 누렇게 변해 있으면 넘~ 속상합니다. 매일 양념으로 넣어 먹는 마늘 재배가 녹녹지 않습니다. 이번에는 마늘의 마른썩음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늘의 마른썩음병은 전 생육기에 발생하며, 특히 저장 중에 많이 나타납니다. 재배지에서는 잎이 구부러지고, 황화 되어 시드는 증상을 보이며, 병이 심하게 진전되면 잎이 오그라들면서 마르고, 뿌리는 썩어 쉽게 뽑히게 됩니다. 심하게 감염된 마늘 인경의 표면에는 병원균의 균체가 관찰되고, 건전하게 보이는 경우에도 수송이나 저장 중에 증상이 나타나기고 합니다. 마늘을 까다 보면 1개 혹은 여러 개의 마늘쪽이 뿌리에서부터 썩어 있는데 병든 부위가 갈색을 띠고 흰 균사체가 보여 건전한 마늘과 쉽게 구별이 가능합니다. 아..
마늘줄기선충은 마늘에서 애벌레와 어른벌레가 비늘줄기의 껍질과 껍질 사이에 침입하여 즙액을 빨아먹어 지상부 생육은 물론 인경의 발육도 불량해지고 심하면 썩는 증상도 보입니다. 암수 모두 실모양으로 생겼으며 비교적 큰 선충으로 길이는 1.0~1.5mm 으로 꼬리가 뾰족하다. 마늘줄기선충에 대한 약제는 파종 전, 정식 전에 토양 혼화 처리제로 월동 후 적용약제가 없습니다. 따라서, 마늘 파종 전에는 종구 소독을 하여야 합니다.
월동을 한 양파밭의 피복물을 제거한 후에 양파의 잎끝이 고사되는 병징을 보입니다. 뿌리를 관찰해 보니, 뿌리응애가 양파 뿌리를 가해하고 있네요. 뿌리응애는 연작지 토양에 살다가 뿌리의 상처나 피해 부위나 고자리파리, 선충 등의 가해 부위에 모여들어 급격히 증식을 하게 되고 결국 인경을 썩게 합니다. 뿌리응애의 단독 발생보다는 병원균, 고자리파리 유충 등 다른 병해충과 함께 발생할 때 피해가 크고, 각종 병원균의 매개자의 역할도 합니다. 지상부의 잎이 고사되는 증상은 고자리파리의 피해와 비슷하나 인경 또는 뿌리 부위를 현미경으로 관찰해보면, 뿌리응애가 흡즙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뿌리응애의 종합적 병해충 관리는 건전한 양파묘를 사용하고 미숙퇴비를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다발생 지역에서는 마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