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M을 꿈꾸는 사람들

(포도) 과일 수급 동향과 전망 본문

농업경영컨설팅

(포도) 과일 수급 동향과 전망

오늘을 살아 2025. 2. 2. 12:37

  본 자료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 농업전망 2025 ' 내용을 요약한 자료입니다. 포도 동향 및 전망자료를 참고하여 영농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포도 수급 동향

1.1.1. 생산 동향

○ 포도 재배면적은

농가 고령화, 도시개발, FTA 폐업지원사업 등으로 포도 농가수가 빠르게 줄어들면서 2010년 1만 7,572ha 에서 2019년 1만 2,676ha까지 감소하였음. 2020년 이후 포도 재배면적은 샤인머스캣 면적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2023년 4,706ha까지 회복되었음.

 

○ 포도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줄어들면서 2019년까지 감소하였으나, 샤인머스캣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최근 4년간 증가세를 보였음.

 

 

 

 

○ 2024년 포도 재배면적은

전년(2023년)과 비슷한 1만 4,649ha이었음. 유목면적은 신규 식재가 줄어 전년 대비 29.0% 감소한 1,852ha이며, 성목면적은 전년 대비 5.8% 증가한 1만 2,797ha이었음.

 

○ 2024년 포도 생산량은

전년 대비 1.6% 증가한 19만 9천 톤으로 추정됨. 여름철 지속된 고온으로 과비대가 부진하였으나, 성목 면적이 증가하였고, 봄철 저온 피해와 여름철 장마 피해가 발생하였던 전년보다 작황이 양호하여 단수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됨.

 

 

 

 

○ 2024년 시설포도 재배비중은

전년 대비 2.4% p 상승한 26.6% 임. 이는 노지포도 출하기 가격 하락이 지속되면서 출하 시기를 분산하기 위해 시설 작형으로의 전환이 꾸준히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추정됨.

 

 

 

 

○ 지역별 포도 재배 비중 변화를 살펴보면, 최근 들어 경북지역의 지역 집중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샤인머스캣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2019년 이후 대부분 지역에서 포도 재배면적이 증가하였음. 최근 들어 제주지역 포도 재배면적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반면, 2024년 강원, 경기와 전북지역 포도 재배면적은 2020년 대비 감소하였음.

  - 강원, 경기지역은 도시화로 재배면적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과거 주력품종이었던 캠벨얼리 재배 비중이 높은 전북지역은 고령화로 재배면적이 감소하는 추세임.

 

 

 

 

○ 2015년 캠벨얼리 재배 비중은 약 70%를 차지하였으나, 샤인머스캣이 도입된 이후 재배비중이 감소하면서 단일 품종 집중화 현상이 완화되었음. 샤인머스캣 가격이 높게 형성되면서 품종 및 품목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졌고, 샤인머스캣 재배 비중은 2017년 이후 연평균 42.5%로 급격하게 증가하였음.

 

○ 2024년 품종별 재배면적 비중은 샤인머스캣 43.1%, 캠벨얼리 29.3%, 거봉류 17.5%, MBA 6.3%, 기타 품종 3.8% 추정됨.

 

 

 

 

 

1.1.2. 출하 및 가격 동향

○ 품종별 포도 가격은 샤인머스캣이 등장하면서 흐름이 바뀌었음. 캠벨얼리를 비롯한 거봉, MBA, 델라웨어 모두 2015년 이후 샤인머스캣으로 품종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면서 반입량은 감소하고, 가격은 상승하고 있음. 반면, 샤인머스캣은 반입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가격은 꾸준히 하락하고 있음.

 

○  2024년 포도 도매가격은 전반적으로 품질이 좋지 않아 전년(2023년) 대비 하락하였음.

 

○ 델라웨어(5~7월) 도매가격은 반입량 감소(28.5%)에도 전년 대비 4.2% 하락한 9,667원/kg이었음. 이는 6~7월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거봉 출하량이 증가하였기 때문

 

○ 거봉(5~11월) 도매가격은 고온으로 생육이 지연되어 8월 이후 생산량이 감소하는 등 반입량이 5.4% 감소하였으나, 착색부진 등 품질이 좋지 않아 전년 대비 18.1% 하락한 5,589원/kg이었음.

 

○ 캠벨얼리(6~11월) 도매가격은 개화기 저온 피해와 장마 피해가 심했던 전년 대비 작황 양호로 반입량이 1.8% 증가하여 전년 대비 24.3% 하락한 3,856원/kg이었음.

 

○ MBA(9~11월) 도매가격은 반입량이 12.1% 증가하여 전년 대비 15.9% 하락한 2,853원/kg이었음.

 

○  샤인머스캣(6~12월) 도매가격은 반입량이 3.7% 증가하여 전년 대비 25.5% 하락한 4,124원/kg이었음. 시설 샤인머스캣이 출하되는 6~8월 가격은 반입량이 41.2% 증가하여 전년 동기 대비 28.4% 하락하였음. 노지 샤인머스캣이 출하되는 9~12월 가격은 반입량이 2.4% 감소하였으나, 여름철 지속된 고온으로 품질이 좋지 않아 전년 대비 28.2% 하락하였음.

 

 

 

 

1.1.3. 수출입 동향

○ 신선 포도 수출량의 대부분은 샤인머스캣이며, 2015년 이후 샤인머스캣 생산량이 늘면서 수출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2023년 신선 포도 수출량은 전년 대비 58.7% 증가한 3,581톤이었음.

  - 수출단가는 2021년까지 상승하였으나, 이후 수출량 증가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 2024년 5~12월 신선포도 수출량은 전년 동기(2,833톤) 대비 42.9% 증가한 4,048톤이었음. 평균 수출단가는 전년 동기(13.0달러) 대비 11.8% 하락한 kg 당 11.5달러였음.

 

 

 

 

○ 신선 포도는 대만, 미국, 베트남, 홍콩으로 약 60%가 수출되고 있음. 최근 들어 홍콩과 베트남 비중은 감소하는 반면, 미국과 대만 비중은 증가하고 있음.

 

○ 2024년(5~12월) 기준 국가별 수출 비중은 대만 40.3%, 미국 14.8%, 베트남 10.9%, 홍콩 10.7%, 기타 23.3%이었음.

 

 

 

 

○ 신선 포도 수입량은 국내 포도 생산량이 늘면서 2018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고 있음. 샤인머스캣 생산량이 급증하면서 수입 청포도 소비가 감소하였기 때문

 

○ 포도는 주로 칠레에서 수입되었으나, FTA 체결국이 다양화되면서 페루, 미국, 호주 등의 수입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 평년 기준 국가별 수입 비중은 칠레 44.7%, 미국 25.4%, 페루 18.1%, 호주 12.2% 임.

 

○ 2024년 5~12월 신선 포도 수입량은 전년 동기(7,444톤) 대비 5.5% 감소한 7,034톤이었음.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 동기(4.3달러) 대비 9.2% 하락한 kg 당 3.9 달러였음.

 

 

 

 

 

수급 전망

1.2.1.2025년 전망

○ 2025년 포도 재배면적은

전년(2024년) 대비 0.5% 감소한 1만 4,575ha로 전망됨. 유목면적은 신규 식재가 줄어 전년 대비 8.7% 감소한 1,690ha, 성목면적은 샤인머스캣 성목면적이 늘어 전년 대비 0.7% 대비 0.7% 증가한 12,885ha로 전망됨.

 



 

 

○ 작형별로 살펴보면, 시설포도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2.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노지 포도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1.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노지 포도 성출하기 가격 하락으로 노지면적은 감소하는 반면, 시설면적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소득 증대 기대와 여름철 고온 피해 증가로 출하를 앞당길 수 있는 시설재배 의향이 점차 늘어나고 있음.

 

 

○ 지역별로는 강원, 경기와 호남지역 재배면적이 전년 대비 각각 1.8%, 0.8% 감소하고, 그 외 지역도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강원, 경기 지역 재배면적은 샤인머스캣 가격 하락으로 타작물(대추, 사과, 벼 등) 대체 의향 높아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측됨.

  - 호남지역은 고령화로 경작이 어려워 폐원하거나, 밭작물(콩, 깨 등)로 작목을 전환하고, 영남, 충청지역은 과원이 도시개발구역으로 수용되거나, 고령화로 휴경, 과원 매매 등으로 재배면적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됨.

 

 

○ 2025년 샤인머스캣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3.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샤인머스캣 재배면적은 출하기 가격 하락으로 타 품종 타 품목으로 전환되면서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됨.

 

○ 캠벨얼리 재배면적은 고령화로 폐원, 저온 피해, 착색 등 관리의 어려움으로 품종전환이 이루어져 전년 대비 1.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거봉과 델라웨어 재배면적은 샤인머스캣보다 출하기 가격이 높고, 소비자 선호도 높아 전년 대비 각각 4.4%, 5.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기타 품종 재배면적은 적색계, 흑색계 신품종 재배 의향이 높아 전년 대비 26.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5년 재배 의향이 있는 품종은 적색계(레드클라넷, 홍주시들러스, 베니바라드, 랑만홍옌, 로얄바인, 미화희, 글로리스타), 흑색계(BK시들리스, 자옥, 코코볼, 슈트벤), 청녹계(알렉산드리아) 등으로 조사되었음.

 

 

 

 

1.2.2. 중장기 전망

○ 포도 재배면적은 20234년 1만 3,400ha로 2025년 이후 연평균 1.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성목면적은 샤인머스캣 성목화로 2026년까지 증가하겠으나, 이후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됨. 유목면적은 샤인머스캣 공급량 증가로 가격이 하락하면서 2023년부터 감소세로 전환되었으며, 이후에도 감소 추세가 이어질 전망임.

 

○ 포도 생산량은 성목면적이 늘어 2026년까지 증가한 이후 감소세로 전환되어 2029년 이후 19만 8천 톤 이하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됨. 다만, 잦은 이상 기상 현상으로 생산량 변동 가능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 포도 생산량은 샤인머스캣 수출량이 늘면서 2034년까지 약 6천 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샤인머스캣을 생산하는 전국의 지자체와 농협 등의 노력으로 수출량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다만, 생산량이 감소세로 전환되면서 수출량 증가폭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전망됨.

 

○ 반면, 포도 수입량은 국내 생산량 변화에 따라 2027년 이후 점차 증가하여 2034년 2만 8천 톤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됨.

 

○ 1인당 연간 소비량은 국내 생산량이 감소하나, 수입량이 늘면서 4.3kg 내외로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