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IPM을 꿈꾸는 사람들
알록달록 꽃매미 본문
오늘은 IPM연구회 회원님이 보내온
사진을 함께 살펴보아요~
뒤뜰에 있는 가죽나무에
알록달록한 요상한
놈(?)이 붙어 있다고
카톡으로 진단을 의뢰해 왔습니다.
꽃매미의 노숙약충입니다.
꽃매미는 동아시아가 원산으로
가죽나무를 비롯한
여러 가지 식물을 가해합니다.
특히 포도에서 가장 피해가 크며,
포도 줄기에서 즙액을 빨아먹어
수세를 크게 떨어뜨리거나
배설물에 의해
잎과 과실에 그을음병을 일으킵니다.
1년 1회 발생하며
알덩어리로 월동하다가
5월 상순부터 부화하기 시작하여
약충은 포도 잎과 줄기의 즙액을
빨아먹고 성장합니다.
4회에 걸쳐 탈피를 한 후
7월 하순부터 성충이 됩니다.
성충 사진은 추후에 찍어서 보완하겠습니당~
성충은
나무 줄기에서
즙액을 빨아먹고 살다가
9월 하순경부터 교미한 후
월동 알을 낳습니다.
월동 알이 깨어나기 전에는
약제 방제 효과가 없으므로
포도줄기나 지주(대) 틈새에 있는
월동알을 찾아서
제거하는 것이
밀도를 낮추어 줄 수 있습니다.
월동알이 부화하는 5월 중하순부터
꽃매미의 적용약제를
가죽나무와
포도나무 등에
교호로 살포하면 됩니다.
성충이 되면
인근 야산에서
계속 유입이 되므로
경제적 피해허용수준를 고려하여
약제를 살포하면 됩니다.
'해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애는 도라지를 좋아해~ (0) | 2017.07.28 |
---|---|
벼룩잎벌레와 세균시들음병의 은밀한 관계 (0) | 2017.07.26 |
알락수염노린재 (0) | 2017.07.17 |
녹두에서 차응애 피해 (0) | 2017.07.17 |
총채벌레의 입 구조와 피해 양상 (0) | 2017.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