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M을 꿈꾸는 사람들

포도 전정할 때 주의할 점 본문

과수 현장컨설팅

포도 전정할 때 주의할 점

오늘을 살아 2023. 3. 22. 18:36

 
 캠벨얼리 품종은 착립이 우수한 품종으로 주로 단초전정을 하게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단초전정은 결과지의 기부에 있는 눈을 1~2개를 남겨놓고 자르는 전정법을 말합니다.


캠벨얼리 품종을 단초전정을 할 때 주의할 점이 세 가지가 있습니다. 전정 시 꼭 참고해 주세요.~


첫 번째 주의할 점첫 번째 눈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전정을 하여야 합니다. 캠벨얼리 첫 번째 눈의 위치는 기저아가 좌우에 하나씩 있고, 그 바로 위에 첫 번째 눈이 있어 전정을 할 때는 꼭 첫 번째 눈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전정을 하여야 결과부위가 상승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만약 세 눈 전정을 하게 되면 결과부위가 한 번에 7~10cm 정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우리나라 포도과원처럼 열간 거리가 좁은 과원에서는 신초가 생장할 수 있는 공간이 적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캠벨얼리 품종은 한 눈 또는 두 눈 전정을 하여 결과부위를 상승을 억제하도록 매년 관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세 눈 전정을 하게 되면 매년 결과지가 상승하게 됩니다.




두 번째 포도나무는 다른 과수와는 달리 절간과 절간 사이의 조직이 치밀하지 않아 전정 후 건조로 인해 눈이 고사할 수 있으므로 눈이 있는 마디를 자르는 희생아 전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희생아 전정이란 두 눈 전정을 한다면 세 번째 눈을 반으로 자르는 전정법을 말합니다.



 

세번째 눈을 희생아로 하여 두눈전정한 사진

 



세 번째는 눈을 전정할 때의 전정방향을 어디로 할 것인가 입니다. 전정을 할 때 남기는 눈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전정을 하게 되면 수액기에 전정한 부위에서 떨어지는 수액으로 인해 눈이 저온 피해를 받거나 양분이 있는 수액에서 부생하는 2차 곰팡이에 의해 눈이 고사할 수 있으므로 전정의 방향은 남기고자 하는 눈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전정을 하여야 합니다.



 

포도 눈과 같은 방향으로 전정하여 수액 이동으로 눈이 고사하고, 부생균이 핀 사진






'과수 현장컨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수 개화기 저온피해 예방법  (0) 2023.04.04
개화시기가 평년보다 최대 10일 빨라질 거래요.  (0) 2023.03.30
수액 이동  (0) 2023.03.11
목면 시비 효과  (0) 2023.03.06
포도 눈따기는 게으름  (0) 2023.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