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M을 꿈꾸는 사람들
샤인머스켓 결과부위가 높아요 본문
하우스 온실에서 샤인을 재배하고 있는 농장으로 현장컨설팅을 다녀왔습니다.
하우스 안에는 2.4m 폭에 샤인머스켓을 재배하고 계시는데
한눈에 들어온 것은 결과부위가 많이 올라가 있다는 것입니다.
아마도 단초전정 하셨을 때 첫 번째 눈 위치를 혼동하여 두 눈 전정을 했는데 사실은 세 눈 전정하여 결과부위가 점점 높아진 것으로 추측됩니다.
세 눈 전정을 하게 되면 7 ~ 10cm 결과부위가 상승하게 되므로 열간거리가 2.4m로 좁은 하우스에서는 공간이 확보되기가 어렵게 됩니다. 또한 두 눈이 남게 되면 정아우세성의 원리에 의해 농부의 입장에서는 맨 위에 있는 눈이 제일 실하고 튼튼하므로 아랫 눈을 따버리고 위 쪽 눈을 남기게 되어 결국 결과부위가 상승하게 되며, 적정한 잎수 확보가 되지 않게 됩니다.
정아우세성은 식물에서 특정한 현상으로 정아(頂芽, terminal bud)가 측아 생성을 억제하고 계속해서 위쪽으로 왕성하게 자라는 현상입니다. 이것은 식물의 꼭대기에 있는 정아가 측아의 성장을 억제하여 수목의 수형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칩니다.
그리고 전정을 한 결과모지를 살펴보면 한쪽 방향에 남긴 두 결과지의 간격이 좁아 보입니다. 이럴 경우 한쪽의 결과지를 잘라 주어야 합니다.
샤인머스켓의 경우 결과지 간격은 작업자의 손 한 뼘 이상인 15 ~ 20cm 이상을 추천드립니다.
마지막으로 하우스 내 토양수분과 양분이 많아 이끼가 끼고 있습니다. 샤인머스켓은 과습과 다비를 싫어합니다. 샤인머스켓 전 생육기간 중 발아직후 ~ 개화직전까지는 수분요구량이 적은 시기이므로 잎이 2 ~ 3매 전개될 때부터 개화 직전까지는 관수량을 점차적으로 줄여 주세요.
이 시기에 토양수분이 많을 경우 신초신장기 때의 외기 온도의 급격한 상승으로 전년도 저장양분이 빨리 소진되고 신초가 웃자라게 되어 마디 사이가 길어지고, 잎도 지나치게 커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개화 직전에는 영양생장을 억제하여 꽃송이를 충실하게 하고 착립 증진을 위해 약간 건조상태로 관리해 주세요.
'과수 현장컨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베렐린 1차 처리 (0) | 2024.04.12 |
---|---|
오래된 포도 주지연장지 갱신 (0) | 2024.04.09 |
3년차 캠벨얼리 키우기 (0) | 2024.04.09 |
포도 저온해 피해 추정 (2) | 2024.04.08 |
포도순이 나오면 주의해야 할 해충 (0) | 2024.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