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4/12/24 (3)
IPM을 꿈꾸는 사람들

과수 동해 피해 방지를 위한 대책을 소개합니다. 우선 사전대책으로는첫째, 재배지역의 겨울철 최저기온 등 기후를 감안하여 내한성 품종 및 저온에 강한 대목을 선택하고, 주위보다 지형이 낮아 찬 공기가 머무르기 쉬운 곳은 피합니다. 둘째, 적절한 비배관리를 통하여 월동 전에 충분한 저장양분이 축적되도록 하여 수체를 튼튼하게 유지시킵니다. 셋째, 적정 착과량을 유지하고, 적기에 수확하여 저장양분 함량이 낮아지지 않도록 하며, 병해충, 약해 등에 의한 조기낙엽을 방지하여 탄수화물 축적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관리합니다. 넷째, 재배 시 과도한 수세신장 방지 및 배수가 불량한 과수원은 나무가 약해 동해를 더 받기 쉬우므로 배수관리를 철저하게 합니다. 다섯째, 땅 속에 매몰 또는 복토하거나 수관부위를 피복하여 월동에..

폭설, 강풍 등 자연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내재형 규격시설을 설치하는 것입니다. 내재해형 규격 시설이란내재해 설계기준에 적합하게 설계된 시설규격으로농촌진흥청장에게 등록한 것을 말합니다.◆ 비닐하우스 등 143종 ● 비닐하우스 : 46종(연동 12(과수 포함), 단동 19, 대형단동 7, 광폭 8) ● 간이버섯재배사 : 2종 ● 인삼재배시설 : 24종(철재 5, 목재 15, 해가림 4종) ● 민간전문업체 개발 규격시설: 71종(단동 31, 연동 37, 광폭 3)◆ 세부 설계도 열람(원예특작시설 내재해형 규격설계도, 시방서) ● 농촌진흥청 농사로 누리집(www.nongsaro.go.kr) → 농업기술 → 농업자재 → 내재해형 등록시설 설계 → 자료 열람 및 다운로드 ..

11월에 내린 습설로 인해 발생한 많은 피해로 인해 첫눈에 대한 로망을 모두 앗아갔다는 분들이 많은데요. 이번에는 습설과 건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눈 관련 기상현상은 눈은 크게 눈, 진눈깨비, 싸락눈, 가루눈, 눈보라로 나누어집니다.▶ 눈(snow) : 침상, 각주상, 판상 등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진 강수현상▶ 진눈깨비(sleet) : 비와 눈이 동시에 섞여 내리는 강수현상▶ 싸락눈(snow pellets) : 불투명하고 백색으로 된 얼음 입자(2 ~ 5mm)의 강수현상▶ 가루눈(snow grains) : 아주 작은 백색의 불투명한 얼음 입자(1mm 미만)의 강수현상▶ 눈보라(snow storm) : 높은 날린 눈(지면에 내려 쌓인 눈이 높게 날려 올라간 현상)과 강설이 동시에 일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