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세균병 (20)
IPM을 꿈꾸는 사람들

자두 열매에 바늘로 찌른 것 같은 작은 반점이 생겼다가 이후 잉크가 번지듯이 커져 피해를 주고 있는 병이 있습니다. 자두를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일명 "잉크병"이라고도 불리는 병인데요. 이 병은 복숭아세균성구멍병과 같은 병원균인 Xanthomonas sp. 의해 발병되는 세균병으로 자두 세균구멍병 또는 검은점무늬병으로 불리며, 5월 상순부터 발병하기 시작하여 6 ~ 7월에 가장 심하게 발생합니다. 피해증상은 과실에서 뚜렷하지만 잎, 과실, 가지 등에 나타나며, 잎에서는 잎 끝이나 주위에 작은 반점이 생깁니다. 심하면 조기낙엽을 일으키며, 잎의 여러 면에 수침상의 작은 반점이 생겨 점차 확대되어 갈변하며, 나중에는 갈색부위가 탈락되어 구멍이 뚫리게 됩니다.(복숭아 세균성구멍병과 유사) 새 가지에서는 처음에 ..

배 화상병은 Erwinia amylovora에 의한 세균성 검역병으로 배나무의 신초, 가지, 꽃 등에 감염을 일으킵니다. 먼저 잎에서는 가장자리에 흑갈색 병반이 발생하며 그 후 잎맥을 따라서 병반이 진전되고, 잎이 말리면서 가지에 매달려 있게 됩니다. 생육기 내 감염 증상은 잔가기의 끝부분이 마르기 시작하여 피층의 유조직이 침해되어 아래쪽으로 진전됨에 따라 새순이나 나뭇가지는 갑자기 시들고 검게 마르게 됩니다. 마치 서리피해와 유사해 보이는 증상을 보이지만, 지팡이 모양으로 가지가 갑자기 시들고 검게 마르는 것이 대표적인 특징입니다. 화상병원균의 농도가 높을 경우 끈적한 점성의 세균액이 분출되며, 분출액 1방울은 1억 ~ 10억 마리의 세균이 존재합니다. 예찰 시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과수 화상병이란 Erwinia amylovora에 의해 발병하는 세균병으로 올해처럼 비가 잦은 해에는 과수 화상병이 발병하기 좋은 조건이 됩니다. 사과나 배를 재배하고 있는 농장에서는 과수 화상병이 발병하지 않도록 농장 소독을 철저히 해 주시고, 자체 예찰을 하여 아래와 같이 화상병 의심 증상이 발견 시 즉시 소재지 농업기술센터로 신고를 해주셔야 합니다. 배나무가 화상병에 감염이 되게 되면 불에 덴 것처럼 까맣게 타 들어가는 특징적인 병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균은 세포간극에서 증식하여 엽맥을 따라 점차 퍼져 나갑니다. 꽃 감염이 이루어지면 수침상이 되고, 쭈그러든 후 흑갈색으로 변하고 꽃이 달린 가지나 인접한 가지로 진전되어 잎맥을 따라 흑갈색 병반이 생깁니다. 병이 진..

체리 농장으로 과수 현장컨설팅을 다녀왔습니다. 난생 처음 체리꽃을 보는지라 아주 생경한 광경을 이였습니다. 체리꽃이 꼭 배꽃처럼 하얀색인데 너무 탐스럽게 많이 무리 짓어 있어 놀라움 그 자체네요. 벌들이 오가면서 열심히 수정을 해주고 있네요. 이 농장주분의 고민은 과원을 2012년에 조성하셨는데 체리나무가 성목이 되려면 7 ~ 8년이 걸리는데 군데군데 죽어서 10년생 성목이 일부 있고 나머지는 계속해서 보식을 하고 있다고 하시네요. 나무 전체가 고사한 체리나무를 찾아서 뿌리상태를 보기로 합니다. 죽은 체리나무를 캐어서 보니 잔뿌리는 거의 없고, 체리나무 근권부 아래에 돌덩이 같이 생긴 암종이 보입니다. 뿌리를 잘라 보면 근두암종이 생성되어 바깥쪽 오래된 암종은 썩어버렸고 그 안쪽으로는 아직 활성이 왕성한..

시범사업 현지 실태조사를 위해 들른 알로카시아 하우스에서 힘없이 죽어가는 식물체를 보았어요. 뜨거운 물에 데친 건지 아님 겨울철 얼어버린 건지 아무튼 조직이 물른 상태로 죽어가는 모습이 안타까워요. 알로카시아를 실험실로 가지고 와서 조직을 떼어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해 봅니다. 현미경상에서 세균의 유주가 흘러나오는 것을 볼 수 있어요. TSA배지에 조직을 길러 보면, Pseudomas sp. 세균의 콜로니가 자라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병원성이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증류수를 대조구로 하여 분리한 Pseudomas sp. 의 세균을 각각 접종하여 봅니다. 병의 증상이 살아있는 식물에서와 같이 조직이 무름 증상이 나타납니다. Pseudomas sp. 에 의한 세균병은 괴사와 마름증상을 동반하는데요. 세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