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보기 (949)
IPM을 꿈꾸는 사람들
이번 시간에는 식물병의 구성요소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식물병의 구성요소에는 병 발병에 관여하는 3가지 요소 즉, 기주식물, 병원체, 환경이 있습니다. 이들을 병 삼각형이라고 하지요. 식물병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두 가지 요소, 즉 식물과 병원체가 접촉상태로 되어 상호작용을 해야 합니다. 접촉상태에서 또는 그 이후일지라도 너무 춥거나, 너무 덥거나 너무 건조하거나 또는 다른 악조건이 주어지면 병원체는 식물을 침해할 수 없거나 식물이 침해에 저항할 수 있으므로 발병환경이 적당하지 않으면 기주-병원체가 접촉상태일지라도 병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때 제 3의 요소인 ' 환경조건들 '이 병 발생에 적당하지 않으면 병은 발병하지 않게 되지요. 이러한 3 요소는 각각 변할 수 있으며, 한 가지 요소가 변하면 ..
5 ~ 6월에 계속되는 가뭄과 건조로 해충(진딧물) 발생이 증가하여 이들이 매개하는 바이러스 의심 진단 시료를 농촌진흥청에 보내어 진단한 결과를 게재합니다. 시료 6점에 대한 현장 포장사진과 실험실에서 찍은 확대사진들 입니다. 시료 1) 노각오이 시료 2) 호박 시료 3) 참외 시료 4) 멜론 시료 5) 호박 시료 6) 호박 위의 총 6점 시료를 농촌진흥청 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바이러스실에 진단한 결과 입니다. 분석 전 시료 사진 시료 총 6점에 대한 RT-PCR의 결과 입니다. * "박화" 가 아니라 "박과" 로 정정합니다. 박과류 바이러스 진단을 해주신 작물보호과 곽해련 연구사님과 연구원들께 감사드립니다. ~
콩 꽃이 피고 있습니다. 어떤 꽃은 자주색이고, 어떤 꽃은 하얀색입니다. 초록의 풋풋한 잎사귀 속에서 작고 예쁜 콩들을 피고 있습니다. 콩 꽃이 필 무렵에 찾아오는 이가 있으니 바로 노린재 녀석입니다. 이놈은 몸의 허리가 잘록하며 뒷다리의 넓적다리마디 안쪽에 톱니 같은 가시가 있다고 하여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 라고 이름 붙여졌습니다. 알은 암갈색으로 팥알 모양이고, 부화약충은 흑갈색으로 개미와 매우 비슷합니다. 자라면서 5회 탈피 후 성충이 됩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흡즙성 해충으로 콩을 가해하는 노린재 가운데 가장 큰 피해를 줍니다. 성충과 약충은 주로 콩 꼬투리가 생기는 결협기에 꼬투리를 가해하기 때문에 꼬투리가 기형으로 되거나 변색 또는 성숙이 되지 않거나 콩알이 쭈글쭈글해 집니다. 노린재..
토마토는 연중으로 소비되는 과채류입니다. 라이코펜이 풍부하여 건강채소로 많이 먹고 있지요. 그래서 토마토는 재배작형이 다양합니다. 8월의 더운 여름철에도 토마토를 정식하는 농가가 있습니다. 정식이란 바로 씨뿌림을 하지 않고 일정기간 동안 묘를 키워서 본밭에 심는 것을 말합니다. 정식한 지 일주일이 지난 토마토가 실험실로 진단 의뢰가 들어왔습니다. 어린 잎에서 갈색 반점 무늬가 생기고, 황화 증상을 보입니다. 줄기에 괴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진단 스트립 킷트로 진단을 해 봅니다.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의 초기 증상으로 진단됩니다. 바이러스가 걸린 식물체를 제거하지 않고 계속해서 키우면 증상이 어떻게 변하는지 궁금해집니다. 어린 토마토 시료를 화분에 넣고 키워 봅니다. 10일 후~ 건전..
하우스에서 재배하는 고추가 낙엽이 지고 있습니다. 잎이 엽맥을 따라 황화 되고 잎 뒷면이 지저분합니다. 잎 뒷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해 봅니다. 살이 통통하게 오른 응애가 보입니다. 응애를 따라 총채벌레도 보입니다. 응애와 총채벌레가 흡즙 하여 고춧잎 뒷면은 상처 투성이가 되었습니다. 하우스는 노지보다 해충의 세대가 빠르므로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발생 초기에 방제가 되지 않으면 고춧잎이 생육에 필요한 세포의 내용물을 빼앗기고, 피해를 받은 잎은 엽록소와 수분 함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점박이응애가 빨아먹는 식물즙액의 양은 1시간당 자기 체중의 약 25%나 됩니다. 고추가 살아갈 수 있는 양분 부족으로 고춧잎 스스로 낙엽이 지는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고춧잎을 까맣게 덮고 있는 그을음병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렇게 되면 고춧잎의 광합성이 방해받아 식물의 생장이 저해 됩니다. 고춧잎 위로 군데군데 보이는 하얀 물체는 진딧물의 탈피각 입니다. 현미경으로 고춧잎 뒷면을 살펴보니, 진짜 범인이 숨어 있네요. 바로 진딧물 입니다. 진딧물은 노린재목으로 노린재목에는 농업해충들이 많습니다. 꽃매미, 멸구류, 날개매미충, 진딧물, 가루이, 깍지벌레, 뿌리혹벌레 등 이죠. 이들은 뚫어 빠는 입을 가지고 있습니다. 진딧물의 경우 어린 잎에서 즙액을 빨아먹고 감로를 분비하여 2차적으로 그을음병을 발생시킵니다. 또한 감자의 leaf roll virus, potato Y-virus 등 많은 식물에서 바이러스를 매개합니다. 진딧물은 세대 기간이 짧고 번식률이 높아 다른 해충에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