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보기 (922)
IPM을 꿈꾸는 사람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IRusn/btsL95BSFtm/zcIWTIvJnCLNvuC5gkKRO0/img.jpg)
본 자료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 농업전망 2025 ' 내용을 요약한 자료입니다. 포도 동향 및 전망자료를 참고하여 영농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포도 수급 동향1.1.1. 생산 동향○ 포도 재배면적은 농가 고령화, 도시개발, FTA 폐업지원사업 등으로 포도 농가수가 빠르게 줄어들면서 2010년 1만 7,572ha 에서 2019년 1만 2,676ha까지 감소하였음. 2020년 이후 포도 재배면적은 샤인머스캣 면적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2023년 4,706ha까지 회복되었음. ○ 포도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줄어들면서 2019년까지 감소하였으나, 샤인머스캣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최근 4년간 증가세를 보였음. ○ 2024년 포도 재배면적은 전년(2023년)과 비슷한 1만 4,649ha이었음. 유목..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cjhIt/btsMlMgxWkp/3lnQk0jKRUxkKatyWrkiEK/img.jpg)
본 자료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 농업전망 2025 ' 내용을 요약한 자료입니다. 복숭아 동향 및 전망자료를 참고하여 영농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수급 동향1.1.1. 생산 동향◇ 복숭아 재배면적은 FTA 폐업지원사업으로 포도에서 복숭아로 전환한 농가가 많아 2010년 1만 3,908ha에서 2017년 2만 1,030ha로 증가하였으나 이후 2023년까지 2만 ha 수준을 유지하면서 연평균 0.7% 감소하였음. ◇ 복숭아 생산량은 재배면적 확대에 따라 2010년 13만 5천 톤에서 2017년 22만 2천 톤으로 증가하였으나 기후변화로 병해충 및 생리장해 발생이 늘면서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3.2% 감소하였음. ◇ 2024년 복숭아 재배면적은 전년(2023년) 대비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