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M을 꿈꾸는 사람들

샤인머스켓 포도의 전정과 결과지 유인 본문

과수 현장컨설팅

샤인머스켓 포도의 전정과 결과지 유인

오늘을 살아 2025. 1. 21. 07:45

샤인머스켓 포도품종은 캠벨얼리 품종보다 수세가 강하여 결과지의 마디 길이가 길고, 과실의 무게가 500 ~ 700g 이상인 큰 송이를 생산하므로 결과지 엽수 확보와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샤인머스켓 품종의 과실의 당도를 높이고, 품질 향상을 위해 잎과 잎 사이가 겹치지 않고, 적정한 엽수 확보를 할 수 있는 전정과 결과지 유인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샤인머스켓 품종의 나무 특성은 어떤가요?

 

▶ 샤인머스켓 포도 품종은 캠벨얼리 품종보다 수세가 강하여 과실이 달리는 가지(결과지)의 마디가 길고, 

▶ 무핵재배 시  500 ~ 700g의 큰 송이를 생산해야 하므로 결과지의 잎수가 캠벨얼리 보다 많은 11 ~ 13매 정도를 확보해야 당도가 높은 과실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샤인머스켓 품종의 전정방법은요?

 

▶ 샤인머스켓 품종은 수세가 강한 유럽종 품종과는 달리 전년도 결과지(결과모지)의 눈을 1 눈에서 2 눈을 남겨두는 단초전정이 가능합니다.

▶ 전년도 결과지(결과모지)를 2월에 1 눈 또는 2 눈을 남겨두고 눈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눈 가까이 바짝 붙여 비스듬하게 전정가위로 자릅니다.

 

샤인머스켓의 결과지 유인 방법은요?

 

▶ 샤인머스켓 품종을 무핵재배할 경우 1 눈에서 2 눈을 전정한 후 첫 번째 눈에서 결과지를 유인합니다. 첫번째 눈에서 결과지를 유인하면 적정 과실 생산량을 확보할 수 있고, 착과높이를 줄여 향후 재배수령이 증가해도 품질 향상을 위한 엽수 확보광합성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샤인머스켓 결과지 유인방법에 따른 생육 특성(상주, 5월 21일)

처리명 결과모지
직경(mm)
결과지 
높이(mm)
신초 직경
(mm)
신초 길이
(cm)
신초수/주
(A)
착과신초수/주(B) 착과비율
(B/A*100)
기저아 12.5 3.3 8.9 107.1 38.0 28.0 73.7
첫번째 눈 11.0 19.5 9.5 118.7 40.7 37.3 91.6
두번찌 눈 12.9 67.1 10.1 142.0 33.7 29.0 86.1

 

 

▶ 결과지의 마디가 길어 2 눈 전정해서 두 번째 눈을 유인하여 재배할 경우 재배 수령이 증가할수록 착과절위가 높아져 열간이 일정한 시설 내에서 적정 잎수 확보가 어렵고, 잎과 잎 사이가 겹쳐져서 광합성 효율이 떨어져 당도를 높이기 어렵습니다.

 

샤인머스켓 결과지 유인방법에 따른 생육 특성(상주, 6월 하순)

처리명 주간경(mm) 결과지 직경(mm) 절간장(cm) 엽장(cm) 엽폭(cm)
기저아 49.1 11.2 14.3 23.8 22.3
첫번째 눈 50.1 10.9 14.3 24.2 22.6
두번째 눈 48.9 11.5 15.5 20.0 19.5

 

 

▶ 착과높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주지에 바짝 붙어 있는 지저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기저아에서 신초를 유인하면 화수가 오지 않는 결과지가 발생하여 적정 수량 확보가 어렵습니다. 

 

샤인머스켓 결과지 유인방법에 따른 과실 특성(만개기로부터 생육일수 142일)

재배방법 송이수/주 착과량(kg/10a) 송이무게(g) 과립중(g) 과립길이(mm) 과립폭(mm)
기저아 28.0 1,687 782.5 14.4 31.7 27.7
첫번째 눈 37.3 2,158 751.3 13.8 30.6 27.6
두번째 눈 29.0 1,693 758.2 14.0 30.7 27.6
재배방법 당도(브릭스) 산도(%) 경도 색도
L a b
기저아 18.6 0.53 1.10 42.5 -5.9 17.7
첫번째 눈 18.4 0.48 1.14 42.3 -6.0 17.5
두번째 눈 19.0 0.49 1.05 41.2 -5.7 16.6

 

 

2월 전정 후 발아 및 신초가 나오는 4월에서 5월 사이 이상 기후 변화로 인한 고온이 지속되다가 갑작스럽게 외기 온도가 낮아지면 발아가 일찍 된 신초가 고사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무가온 촉성재배 농가에서 종종 발생합니다.

▶ 예상치 못한 고온이 지속될 경우 미리 측창을 열어 신초의 도장을 방지하고 -5℃ 이하로 떨어지면 축열물주머니, 보조 가온기, 스프링클러, 공기순환팬 등을 돌려 야간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예방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