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M을 꿈꾸는 사람들
콩 균핵마름병 본문
콩이 시들면서 죽어간다고 농업기술센터로 연락이 옵니다. 밭작물 담당 직원 선생님이 화성시농업기술센터 병해충종합관리실에 진단을 의뢰하여 콩 균핵마름병으로 진단을 받았습니다. 최종 병원균이 동정되어 진단되게 되면 의뢰 농가분께 농가 지도를 하게 되는데요. 담당 직원 선생님이 현장으로 농가 지도를 가신다고 하여 ' 콩 균핵마름병원균 ' 을 국내 처음 보고한 자격으로 같이 동행하여 출장을 나가보기로 합니다.
먼저 콩 균핵마름병에 걸린 콩을 관찰하기 위해 포장을 둘러봅니다. 콩 균핵마름병에 걸린 개체를 뽑아서 의뢰하신 농가분에게 콩 균핵마름병에 대해 설명과 방제 방법을 지도해 드렸습니다.
콩이 균핵마름병에 걸리게 되면 초기에는 아랫 사진과 같이 잎이 팽압을 잃어 위로 말리면서 낮에는 시들었다가 밤에는 회복하기를 반복합니다. 마치 토양 수분 부족에 의한 수분 스트레스 증상과 유사하지만 직접적인 원인은 콩 균핵마름병에 의한 수분 스트레스입니다.
병이 진전되게 되면 결국 시들어 말라죽게 됩니다.
콩 균핵마름병에 걸린 콩은 꼬투리가 충실하게 익을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조기성숙을 합니다. 그러면 제대로 된 똘똘이 콩이 아닌 쭉정이 종실을 수확하게 되어 막대한 수량손실을 경험하게 됩니다.
병든 개체를 뽑아보면 잔뿌리가 없고, 뿌리 표피가 벗겨진 부위에 검은색 소립 균핵을 형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뿌리의 표피가 벗겨진 부위에 콩 균핵마름병의 특징인 검은색 소립 균핵이 형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의뢰하신 농가분의 포장에서 병든 개체를 뽑아서 콩 균핵마름병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해드리고 난 후 콩 균핵마름병으로 등록된 약제가 있긴 하지만 효과적인 방제방법이 없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콩 균핵마름병에 대한 내용은 다음 기회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곰팡이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실이 쭈글거리는 대추 탄저병 (0) | 2022.10.13 |
---|---|
올해는 콩 탄저병도 심합니다. (0) | 2022.09.21 |
포도 탄저병 (0) | 2022.09.20 |
오이 노균병 (0) | 2022.09.16 |
텃밭 고추 (0) | 2022.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