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비생물적인 요인 (78)
IPM을 꿈꾸는 사람들

고구마가 8월부터 수확을 시작해서 한꺼번에 수확하지 않고 조금씩 로컬푸드 직매장으로 출하를 하고 계시는 농가분들이 늘고 있어요. 요즘은 고구마를 인증 신청하신 분을 대상으로 인증심사를 다니고 있습니다. 시료 분석을 위해 고구마와 토양을 시료 채취하고 현장심사를 마치려고 하는데 " 우리 배추가 바이러스에 걸린 것 같아요. 인터넷으로 찾아보니 이런 증상을 바이러스라고 하던데. " " 우리 배추가 바이러스인가요? " 라고 물어오셔서 같이 배추가 심겨진 곳으로 발길을 향했습니다. 심겨진 배추를 살펴보니 주인장이 걱정할 정도로 배추 새순 부위가 불특정 하게 황화 증상을 보이고 있네요. 올해 김장을 하려고 심은 배춧밭 전체에서 비슷한 증상을 보이고 있네요. 배추 한 그루씩 살펴보면 황화증상은 같지만 황화 된 증상을..

이전 호박에 황화 증상이 있어 컨설팅을 해 드렸던 농가분께서 ' 호박이 힘없이 과실이 떨어진다 '고 연락이 옵니다. 현장에 도착하여 살펴보니 비닐캡에 씌워서 잘 자라고 있던 호박이 힘없이 떨어지는 생리적 낙과가 시작되고 있었습니다. ' 왜 호박이 떨어지는 건가요? " 하는 농부님의 질문은 마음을 무겁게 합니다. 전에 토양검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양분이 정상의 범위를 벗어나 있으며, 전기전도도가 18.8 dS/m 지나치게 높았습니다. 그 정도의 전기전도도에서 호박이 자라고 있는 것 만으로 농부님의 노고와 정성을 느낄 수 있었지만 전기전도도가 높으면 마치 소금물에 절여놓은 배추처럼 팽압을 잃고 수분이 식물체에서 토양 족으로 빠져나가 토양에 물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식물체 내 수분 부족으로 팽압을 잃고 시들게..

아스파라거스는 스테이크와 같은 고급 요리와 잘 어울리는 고급 채소류에 분류되는데 요즘은 아스파라거스가 봄기운을 받아 올라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잘 올라오던 아스파라거스의 대나무 같은 줄기가 시들면서 죽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바로 저온 피해를 받은 경우입니다. 힘없이 시들며 말라버린 아스파라거스의 모습입니다. 이른 봄 아스파라거스 터널재배를 통해 보온을 해주어서 낮과 밤의 기온 차이에 의해 저온을 피해를 받지 않도록 신경을 써주어야 합니다.

애호박과 오이를 재배하고 있는 농가을 뵈러 출장을 다녀왔어요. 보통 경기도 화성시에서는 높은 난방비가 부담되어 겨울기간 동안은 과채류를 재배하지 않는데 이 농가분은 작년 11월에 처음으로 오이와 애호박을 하우스 재배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겨울 동안 하우스 온도가 낮아 순멎이가 되었다가 요즘 깨어나고 있는 모습입니다. 요즘 이 농가분은 호박이 힘없이 시들어서 고민이라고 하시는데요. 호박의 잎색도 녹색이 아닌 연두색에 가깝고, 호박이 자라고 있는 토양은 추운 겨울 동안 죽이지 않고 살려놓은 농부의 정성만큼 과다한 요소 시비로 녹색의 이끼가 끼여 있습니다. 힘없이 시들고 있는 호박을 캐어서 보니, 지상부와 비해 지하부 뿌리의 양이 상대적으로 너무 적습니다. 이를 식물학에서는 T/R률(Top/Root ratio..

화성 로컬푸드 인증심사를 위해 딸기 농장을 방문했어요. 인증심사를 마치고 그 동안 근황을 여쭈어 보니 요새 딸기 2화방에서 기형과가 많이 발생되는데 그 이유를 잘 모르겠다고 하시네요. 저는 딸기를 전문으로 하지 않아 잘 모르겠다고 말씀드리고 나왔지만 사무실로 돌아와서 그 원인이 궁금해서 머릿 속에서 내내 맴돕니다. 딸기 기형과에 대해 알아보면 정상적인 과일과 다른 이상한 모양의 딸기를 말하며 대부분 수정불량에 의해 발생된다고 합니다. 주로 매개충인 벌의 활동이 둔해지는 겨울철 딸기 재배에서 많이 발생하는데요. 이 농가분은 벌들이 날개짓을 하면서 이 꽃 저 꽃을 날아다니고 있어 수정에 의해 기형과는 아니라고 생각하시는 것 같아요. 말씀을 들어보니 요즘 날씨가 계속 추워서 난방을 계속하다보니 온실이 건조하다..
2022년 1월 1일 부터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농산물 잔류농약 분석 성분이 320종에서 464종으로 확대되어 생산단계 농산물 안전성 조사가 더욱 강화됩니다. 농약 살포 시 해당 작물에 등록되지 않은 농약은 절대 사용하지 마시고, 등록된 농약은 안전사용기준을 꼭 준수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잔류농약 부적합이 발생하면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와 해당 농산물의 출하연기 또는 폐기, 공익지불금 감액 등 행정처분을 받게 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