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토마토 (26)
IPM을 꿈꾸는 사람들
하우스에서 겨울에는 시금치, 근대, 쑥갓 등 엽채류를 재배하고 봄에는 오이랑 토마토를 재배하는 농가가 있어요. 3년 전쯤 이 농가분이 찾아오셔서 토양분석을 했는데 유기물 함량이 낮고 칼륨, 칼륨, 마그네슘과 토양의 EC가 너무 높은 거예요. 그래서 토양시비처방서와 볏짚시용을 권해드렸어요.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높이고 EC를 낮추기 위해서 밑거름으로 볏짚을 계속해서 넣고 계세요. 그런데 이번 겨울에 하우스를 방문하여 병든 시료를 채취하는데 기어 다니는 ' 이상한 놈'이 보입니다. 응애 같은데 조금 다른 무언가~ 얼른 실험실로 와서 현미경으로 관찰해 봅니다. 추운 겨울철에도 응애라니~ 징글징글합니다. 그런데 일반 응애랑은 달리 긴 털이 많이 보입니다.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해 보면 응애의 배 앞쪽에는 털이 짧은..
올겨울은 춥고 연료비도 많이 올랐는데 토마토마저 힘없이 축 처지고 시들어 가니 농가분의 시름도 깊어 갑니다. 푸른채 시들고 있어 청고병(풋마름병)이 온 것 같다고 말씀하시데요. 증상만 가지고 진단하는 것은 앙 돼요~ 시들어 죽어가는 토마토를 뽑아서 실험실로 가져 옵니다. 시들어 죽어가는 토마토 줄기를 잘라 보면 유관속 관다발 부위가 심하게 갈변된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갈변된 것은 병원균의 균사, 젤, 포자, 검 물질, 전충제에 의해 물관이 폐색 되거나 병원균의 침입을 막기 위해 인접한 유세포의 급격한 증식으로 인한 물관의 물리적 압박에 의해 병든 식물은 물을 원활하게 위쪽으로 이동시키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뿌리나 줄기를 통해 잎으로 이동하는 수분이 잎의 증산작용으로 내보내는 수분의 양보다..
토마토 재배농가에 다녀왔어요. 토마토가 군데군데 시들면서 죽어 가고 있네요. 방울토마토의 지제부에는 잔뿌리들이 많이 나와 있고, 갈변되어 죽어갑니다. 시들어가는 토마토를 채취하여 실험실로 돌아옵니다. 뿌리를 세로로 잘라서 관찰해 봅니다. 유관속이 갈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줄기의 유관속은 수분 이동이 방해를 받아 탈수가 진행되어 스펀지 같습니다. 병든 도관부와 뿌리를 잘라 PDA와 WA배지에 배양해 봅니다. PDA배지에서 자라나 온 균총 사진입니다. 플레이트에서 소형 균핵이 생겼어요.~ 200배에서 관찰한 분생포자 사진입니다. 분생포자경이 환형으로 배열되는 것이 Verticillium의 특징입니다. 이 병은 토마토 반쪽시들음병(Verticillium sp.)으로 진단됩니다. Verticilli..
토마토는 어떤 작물일까요? 가지과 작물로 발아 적온은 25 ~ 30도 육묘 적온은 20 ~ 25도 개화 적온은 20 ~ 25도 생육적온은 17 ~ 27도이며, 10월 하순 ~ 11월 하순에 정식하는 촉성재배, 12월 하순 ~ 2월 상순에 정식하는 반촉성재배, 5월 상순 ~ 5월 하순에 정식하는 조숙재배, 5월 중순 ~ 5월 하순에 정식하는 노지 억제재배가 있습니다. 이렇게 수치상으로 표현되지 않더라도 슈퍼에 가면 사계절 과일 채소로 판매되고 있어요. 그러므로 토마토를 재배하는 농가마다 제각기 즉 ~ 본인이 선호하는 재배시기가 다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가요. 토마토 바이러스 발생은 겨울에도 멈추지 않습니다.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에 의해 발생한 토마토 원형반점병(Ringspot)으로 진단됩니다. ..
올 겨울은 유난히 눈도 많이 내리고 춥네요. 겨울철 시설토마토 농가를 다녀왔습니다. 토마토 전체가 크지 못하고 정단 부위가 황갈색을 띠면서 오글거리고 녹이 슨 것 같은 증상을 보입니다. 잎이 황화 되고 탈색되어 바이러스와 유사한 증상을 보입니다. 새순 부위를 채취하여 실험실로 가져옵니다. 현미경으로 살펴보니 노랗고 길쭉한 이상한(?) 물체가 꾸물꾸물 움직입니다. 긴 몸뚱이에 숏다리인 것이 오징어와 많이 닮아 있습니다. 이 해충은 토마토 재배농가에서 큰 피해를 주는 토마토녹응애로 진단됩니다. 토마토녹응애는 응애목 혹응애과로 구기자혹응애와는 달리 혹은 만들지 않습니다. 국내에서는 1995년 충남 부여 유리온실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그 후 강원지역, 논산, 경북 등지에서도 발견되었습니다. 난방하는 시설하우스 ..
토마토 잎곰팡이병은 처음에는 잎 표면에 흰색 또는 담회색 반점으로 보이다가 점차 황갈색의 병반으로 커집니다. 잎 뒷면을 살펴보면, 담갈색의 병반을 형성하는데요. 마치 갈색의 곰팡이가 융단처럼 밀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주로 하엽에서 피해가 큰데 심하면 하엽 전체가 황화되고 고사하기도 합니다. 이 병의 병원균은 Fulvia fulva 이고, 동균이명으로 Cladosporium fulvum 라고 합니다. 잎 뒷면 포자를 떼어 광학현미경에서 본 사진입니다. 잎곰팡이병의 분생포자는 무색 또는 연갈색이며 1 ~ 2개의 세포로 되어 있습니다. 이 병원균은 병든 잎이나 종자 등에서 월동한 후, 1차 전염원이 되는데요. 시설하우스에서 병원균은 각종 농기구에 붙어서 월동하기도 합니다. 2차 전염은 병반에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