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오이 (32)
IPM을 꿈꾸는 사람들
겨울철 연동하우스 안에 자라고 있는 오이의 잎에서 연초록빛의 반점이 나타납니다. 조금 더 진행이 되면 다각형의 갈색 반점이 됩니다. 병반들이 합쳐지면 병반이 점점 커집니다. 병반을 보이는 오이 잎이 따서 IPM실험실로 돌아 옵니다. 병반을 확대해 볼게요.~ 잎 뒷면을 살펴보면 서릿발 같이 투명하고 하얗게 생긴 포자낭경이 기공을 통해 식물 조직으로부터 바깥으로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어요. 광학현미경에 보이는 포자낭경과 포자낭입니다. 오이 노균병은 Pseudoperonospora cubensis가 일으키는 병입니다. 박과류에서 노균병을 일으키는 Pseudoperonospora 속은 발병 온도 범위는 5 ~ 30도이며, 발병 적온은 15 ~ 20도입니다. 사진과 같이 잎 뒷면의 다량의 포자를 형성하여 공기 중..
잘 자라던 오이가 맥없이 시들어 갑니다. 원인도 모르기에 농부는 애가 타들어 갑니다. 진단 의뢰를 받고 농가를 방문하여 시들어가는 오이와 시들어가는 개체의 근권 토양을 채취하여 돌아옵니다. 토양의 pH와 EC를 재어보니 pH: 6.75 EC: 1.83 dS/m로 시설재배 오이에 사양토 기준 토양염류에 의한 오이의 생육 한계점은 1.2 dS/m인데 반해 다소 높은 편입니다. 오이는 토마토나 피망에 비하여 염류에 약한 작물이므로 생육 중 추비를 위해 액비를 물에 타서 시비를 할 때 주의가 요합니다. 시들어 가는 오이의 뿌리 부근을 자세히 관찰해 봅니다. 뿌리의 잔뿌리가 갈색으로 갈변된 것이 보입니다. 뿌리를 반으로 잘라 속을 살펴봅니다. 접목묘의 뿌리 절단 부위에 갈변된 것이 보입니다. 수침상 갈변 부위와 ..
오이를 정식하고 나서 잎 끝이 노래져셔 마그네슘의 결핍으로 진단하여 마그네슘과 칼슘을 엽면살포를 하였다고 합니다. 과연 마그네슘 결핍이었을까? 진단이 맞다면 엽면시비 후 증상이 완화되어야 하는데 이상하다고 진단의뢰가 들어왔어요. 엽육이 얇고 줄기가 연약하는 등 전반적으로 도장을 하고 있네요. 요즘 들어서 가을철 바람이 불고 기온도 뚝 떨어지면서 지난 10월 12일에는 서리도 내렸습니다. 아침에 물방울이 맺히는지를 젊은 농가분에게 여쭤봅니다. 아침에 오이 잎에 물방울이 맺히는 증상을 일액현상이라고 하는데요. 낮에는 따뜻하여 수분흡수가 왕성한데 반해 밤에는 기온이 차가워지면서 증산작용이 억제되어 밤부터 이른 새벽에 잎 가장자리에 물방울이 맺히게 됩니다. 일액현상으로 빠져나온 물방울 속에는 순수한 물과 함께 ..
흰가루병 처럼 ' 나 잘났다. ' 하는 병이 있을까? 자신의 드러내는데 화장품 파우더를 바른 것처럼 완전 뿜뿜~ 입니다. 흰가루병은 15 ~ 28도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많이 발생되며, 30도 이상의 고온에서는 병 발생이 억제됩니다. 또한 질소질 비료를 많이 시용하거나 일조가 부족하고, 낮과 밤의 온도차가 심한 억제재배 오이에서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흰가루병원균은 절대기생체로서 식물조직의 표면에서만 자라고 식물기관의 표피세포 속에 흡기를 뻗어 식물체로부터 양분을 약탈하므로 흰가루병이 심한 잎은 황화 되고 결국 말라죽게 됩니다. 시설재배 온실에서는 분생포자가 공기전염에 의해 계속해서 발병이 되므로 병든 잎은 조기에 제거하여 소각하여 전염원의 양을 줄이고, 온실 가온을 통하여 낮과 밤의 온도 차를 ..
오늘은 요즘 가을철 온실에서 나타나는 바이러스 유사증상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오이 생장점 부근의 어린 잎이 위축되고 뒤틀리며 가장자리가 말려들어가고 있습니다. 피해받은 잎은 딱딱하게 굳고 광택이 납니다. 오이의 어린 과실은 표면이 거칠어지고 쭈글거리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을 보이면 생리적 장해, 바이러스병, 생장조정제 피해 등으로 오진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피해받은 잎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0.1 ~ 0.2mm 정도의 밝은 담갈색의 움직이는 작은 생물체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광학현미경으로 보면 더욱 자세히 볼 수 있죠. 이 작은 생물체는 응애목 먼지응애과의 차먼지응애 입니다. 차먼지응애은 주로 건조할 때 많이 발생하여 한여름철보다는 겨울에서 봄까지 가온기에 피해가 많..
오늘은 오이 세균모무늬병에 (Angular leaf spot)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이 세균모무늬병은 Pseudomonas syringae pv. lachrymans 라는 세균이 일으키는 병입니다. 잎에 작은 수침상의 반점이 나타나고 진전됨에 따라 엽맥에 의해 각진 병반으로 확대됩니다. 새균모무늬병에 걸리면 저항성 품종은 작은 반점만 만들지만, 감수성 품종은 잎의 가장자리가 황색으로 변합니다. 병반을 PDA와 WA에 배양해 보면 누런 콧물 같은 세균이 자라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TSA배지에 자라나 온 모습 병원성을 검증하기 위해 TSA배지에 증류수를 부어 콜로니를 수확하여 주사기에 넣어 담뱃잎에 접종해 보아요. 담배잎에 세균을 접종한 결과 담배 조직이 붕괴되고 괴사 하는 과민성 반응이 ..